김 수출의 선봉장… 세계 38개국 입맛 잡아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1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만전식품㈜

입맛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독일 등 유럽 선진국을 비롯해 전 세계 38개국에 한국 김을 납품하는 기업이 있다. 수출 시장 개척 당시 일본만을 바라보던 다른 김 생산업체들과 달리, 적극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면서 거래선을 넓혀온 만전식품㈜이 바로 성공 신화의 주인공이다. 만전식품은 올해 이미 2000만 달러에 이르는 김 수출을 달성했다. 유럽 김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면서 위상을 확고히 다졌다.

만전식품 정재강 대표는 “일본 수출도 호조였지만 언제까지 일본 시장에만 기댈 수 없다는 생각으로 수출국을 다변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김 품질에 대한 자부심 하나만 가지고 2009년부터 연간 6개국에서 많게는 10개국씩 돌며 자사 김 제품을 알렸다고 한다. 그렇게 품질로 승부를 보면서 거래처를 늘려 나갔다.

그의 해외시장 공략 법에는 남다른 전략이 있다. 정 대표는 한국인들이 김을 소금과 기름을 발라서 주로 반찬으로 먹는데 이렇게 반찬으로 소비하는 김은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쌀이 주식이 아닌 국가들이 더 많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외 판매 전략을 세울 때 보다 쉽게 김을 접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키로 했다. 바로 스낵류였다.

실제로 유럽에서 밀가루 대신 해조류로 스낵을 만든다는 것은 독특한 아이템으로 받아들여졌다. 건강에 좋다는 사실도 강조했다. 저 열량 식품이어서 다이어트에도 좋다는 점을 부각한 것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일본의 김 제품과도 차별화한 것이었다. 일본의 경우 김에 설탕을 바르는 게 아니고 설탕물을 바르는 형식인데 그마저도 간식이 아니라 밥과 함께 곁들여 먹는 형태라 과자라 보기에는 어렵다고 말했다. 만전식품은 김부각, 아몬드, 쌀 튀김 등 건강한 농산물 위주의 과자 형태로 김 스낵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다.

그동안 세계시장에선 한국의 김(Gim)이라는 명칭 보다는 일본의 노리(Nori)가 더 친숙했던 것이 사실이다. 정 대표는 한국 김이 중국 김보다 품질이 훨씬 좋고 일본 김보다 싸다는 장점을 알리면서 한국 김의 위상을 높여왔다. 이를 통해 일본기업이 선점하고 있던 김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만전식품 또한 일본 기업과 경쟁해 시장 주도권을 늘려간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사명감을 가지고 있다.

정 대표는 “40년 역사의 만전식품이 작은 국내기업 거래선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국위선양을 하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간다는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한편 정 대표는 한국이 5억 달러 이상의 김을 수출하고 있는 나라지만 식품 산업 전체에서 김 산업을 저평가하고 있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는 김 산업이 식품산업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카테고리로 분류되고 있으며 중국 또한 정부 차원에서 김 시장 발전을 위해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에선 특별한 지원책이 없는 것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 인터뷰 / 만전식품㈜ 정재강 대표
지역과 상생 위해 전남에 공장 신축

만전식품 정재강 대표는 건축업에 종사하다가 김 판매로 사업 중심축을 옮겨 성공을 거둔 경영인이다. 그는 “김을 사업아이템으로 정한 이후에도 5년 정도는 부침이 심했지만 각 산지에서 김을 보내줬던 사람들을 위해 정직하게 김을 팔았다”고 말했다. 정직과 신뢰의 기업으로 정평이 나면서 김 종사자들과 많은 신뢰를 쌓았다.

또한 그는 사업 초기 남보다 더 좋은 김을 사야 된다는 마음가짐에 새로운 어장지를 찾기 위해 발로 뛰었다고 했다. 정 대표는 남이 가지고 있지 않은 김을 확보해 보자는 마음가짐을 가졌고 정직해야 하며 눈앞의 이익만 좇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경기 하남에 본사를 둔 만전식품은 최근 전남 목포에 또 다른 법인 ㈜아라를 설립했다. 대양산업단지에 공장을 신축한 가장 큰 이유는 원활한 원료 확보뿐만 아니라 산지와 가까운 교통망 때문이다. 국내 김 총 생산량의 84%가 전남에서 생산된다. 그는 지역과 상생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는 인터뷰 중 지역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를 내놨다. 천편일률적으로 동일한 최저임금을 지역별로 차등을 둘 필요가 있다는 것. 낙후지역일수록 최저임금을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기업이 노동비가 싼 지역으로 이전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그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도 중요한 키워드로, 동반성장의 중요성을 앞으로도 정부가 잘 새겼으면 한다”고 했다.

박정민 기자 atom6001@donga.com
#중소벤처기업#중소기업#만전식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