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7곳 사회적기업 인증… 취약계층 위한 일자리 창출에 앞장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0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강원 정선에서 각종 누룽지를 제조해 인터넷으로 판매하는 ‘깜밥이날다 누룽지 자활협동조합’은 올해 5월 고용노동부로부터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을 받았다. 정선에는 강원랜드가 있어 도박 중독자들이 많은 편인데, 이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다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기업이다. 특히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등과 함께 ‘생명사랑협의체’를 만들어 도박 중독을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 중이다.

지난해 설립한 ㈜더스터치는 미술놀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각종 그림 관련 제품을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이다. 지역 사회복지관과 협업해 취약계층 아동들에게 미술놀이 교육을 하고 있다. 부모들도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특히 아이들의 위트 있는 그림을 모티브로 수첩 등 팬시용품을 제작해 판매하고, 그 수익금은 취약계층 아동 미술 교육을 지원하는 데 재투자한다. 더스터치는 고용부로부터 올해 5월 예비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을 받았으며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취약계층의 희망,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이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영리기업 또는 협동조합 등의 비영리법인을 뜻한다. 이런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들이 양극화 해소, 일자리 제공 등을 통해 공익적 가치를 창출하는 영역을 ‘사회적 경제’라고 부른다.

정부는 사회적 경제를 일자리 창출의 동력으로 삼기 위해 지난해 10월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5년간 5000억 원의 금융 보증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이 취약계층과 중장년층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만큼 사회적 경제를 육성해 내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취지다.

고용부는 이런 공익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사회적 기업을 해마다 공식적으로 인증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정부가 인증한 사회적 기업은 1877곳이다. 이 기업들이 유급으로 고용한 근로자는 4만1417명에 이른다.

2007년 정부가 처음으로 사회적 기업을 인증한 초기에 사회적 기업은 서비스, 제조, 보건 등 7개 업종에 국한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교육서비스, 예술, 스포츠 등 18개 업종으로 다양화되는 추세다. 고용부가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사회적 기업 한 곳당 평균 매출액은 18억5000만 원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영남권이 47억5000만 원으로 가장 많고 수도권(16억5000만 원), 강원·제주(15억2000만 원) 순이다.

사회적 기업이 고용한 근로자는 상용직(근로계약 1년 이상인 근로자)이 94.1%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임시직은 3.7%, 일용직은 2.2%에 불과했다. 사회적 기업 종사자의 고용보험 가입률은 98%에 이르고, 근로자 1인당 평균 임금은 153만5000원이다.

특히 취약계층이 많이 종사하는 청소업의 경우 일반기업 근로자 평균 임금은 164만4000원이지만, 사회적 기업은 187만4000원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에 50대 이상 중장년층과 취약계층이 많이 고용된 점을 감안하면 비교적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는 종사자 가운데 92.8%는 “현 직업에 만족하며 계속 일하겠다”고 답했다. 더 좋은 조건이 있다면 이직을 하겠다는 응답은 22.8%, 새로운 직장으로 옮길 경우 사회적 기업을 선택하지 않겠다고 답한 비율은 13.1%에 불과했다.

예비 사회적 기업도 인증 가능

그러나 영세하게 시작하는 사회적 기업이 많은 만큼 이들의 어려움이 적지 않다. 고용부 조사 결과 ‘판로 개척과 유지의 어려움’이 43.4%로 애로사항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사업자금 부족(25.6%) △사회적 목적과 경제적 목적 조화의 어려움(10.8%) 등이 뒤를 이었다. 신생 기업이 많은 만큼 기존 시장을 뚫고 들어가기가 어렵고, 사회적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가 만연해 있어서다.

실제 사회적 기업이 정부나 민간으로부터 받은 투자액은 1곳당 평균 1억6000만 원에 불과하다. 반면 평균 부채액은 3억80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의 진입 장벽도 높은 편이다. 사회적 기업 대표가 20∼39세 청년인 비율은 8.4%에 불과했다.

이에 고용부는 사회적 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2015년부터 ‘예비 사회적 기업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으로 진입하기 전부터 정부 지원을 받도록 하는 제도다. 예비 인증을 넘어 공식 인증을 받으려는 기업이나 단체는 광역지방자치단체별로 설치돼 있는 통합지원기관의 컨설팅을 받은 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으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사회서비스와 일자리를 제공할 뿐 아니라 앞으로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적 기업이 나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유성열 기자 ryu@donga.com
#2018 리스타트 잡페어#취업#경력단절#고용노동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