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남북교류 사업’ 재개될까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4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남북관계 풀리면 교류 재개 청신호
남아도는 공공비축미 北에 보내고… 개성공단 재가동 기대감도 커져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전북의 남북 교류사업이 재개될지 주목된다.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기업들은 재가동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고 실향민들은 이산가족 상봉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전북도는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 관계가 풀리면 2004∼2007년처럼 자치단체 교류와 농림축산업 기술 지원이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남북관계 변화 추세에 맞춰 시군과 대북지원 단체 등 의견수렴을 통해 남북교류협력사업을 발굴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기존에 발굴한 대북지원사업 2개(농업·축산지원사업, 자원순환형 농축산 복합단지 조성)와 신규 사업 1개(산림복합사업)를 두고 지원 가능 여부를 5월부터 검토할 계획이다. 2016년 대북지원사업 추진을 검토했으나 북한 핵실험과 개성공단 중단 등으로 통일부가 사업승인을 불허해 성사되지 못했다. 해당 사업들은 축산의약품과 수의·방역 기술 지원, 북한 농축산 중점 경제개발구역에 양돈장을 신축하고 산림복원 기술을 이전하는 것들이었다.

대북지원사업에는 총 162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사업자금은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조성한 남북교류협력기금 89억 원(도 40억 원, 시군 49억 원)을 활용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이를 위해 6월 말 남북교류협력위원회를 개최하고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 방안과 남북교류협력기금 운용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농기계와 축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북한에 33억2600만 원을 지원했다.

최재용 전북도 기획관은 “이번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아도는 공공비축미를 북한에 보내고 개성공단 가동도 재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북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재가동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전북에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이 전주에 5곳, 익산 1곳, 김제 1곳 등 7곳이 있다.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한 기업 대표는 “회사제품이 중국에서 인기리에 팔리고 있는 상황이어서 중국과 가까운 개성공단이 하루빨리 열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실향민들은 회담에 큰 기대를 표시하면서도 과거 사례에 비추어 북한의 속내를 알려면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1951년 1·4후퇴 때 황해도에서 내려온 실향민들이 정착한 전북 완주군 이서면 정농1리 주민들은 26일 경로회관에 모여 북녘 고향과 가족 얘기를 나눴다.

8세 때 아버지 손을 붙잡고 이곳에 내려왔다는 유영자 씨(75·여)는 “남과 북의 정상이 만난다는 사실이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 북한을 자유롭게 오가는 날이 어서 와서 북한 동포들이 우리와 함께 잘살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북녘 땅에 두고 온 가족에 대한 그리움도 내비쳤다. 12세 때 피란 온 배심년 씨(79·여)는 “북에 두고 온 가족 얼굴이 아직도 눈앞에 어른거린다. 얼른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져야 가족도 만나고 죽기 전에 고향 땅 한 번 밟아보지 않겠느냐”고 했다.

전북겨레하나 회원들은 25일 전주시 한옥마을에서 남북 정상회담 성공기원 퍼포먼스를 열고 환영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냉전과 대결의 상징이었던 판문점이 평화와 공존의 새 세상을 여는 문이 될 것”이라며 “사랑과 평화가 우거진 아름다운 꽃길을 남과 북이 함께 걸어가자”고 밝혔다.

전북도교육청은 도내 초중고 학생들이 학교에서 남북 정상회담 생중계를 시청하도록 일선 학교에 권고했다. 전북도교육청 관계자는 “학생들이 남북 분단의 현실과 통일문제, 한반도 평화정착과 비핵화 등에 대한 배움과 성찰의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광오 기자 ko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