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세계유산 등재하자마자 ‘강제노동’ 말 바꾼 일본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7월 7일 00시 00분


코멘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확정된 뒤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동’에 대해 말을 바꿨다. 일본은 그제 독일 본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에서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제로 노역(forced to work)했다”고 발표했다.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정보센터 설치 등의 조치를 하겠다고도 약속했다. 이를 등재 결정문의 본문이 아닌 주석에 포함시키는 것을 한국 정부가 수용하면서 세계유산위원회 만장일치로 등재안이 통과됐다. 그러나 합의문의 잉크가 채 마르기도 전에 과거사에 대해 다시 발뺌하는 일본이 과연 한일 관계 개선의 의지를 갖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일본 정부는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forced to work’라는 영어 표현을 ‘일하게 됐다’고 수동형으로 번역해 마치 강제성이 없었던 것처럼 시치미를 뗐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상은 등재 직후 일본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본이 일본말로 어떻게 번역해 자국민에게 선전하든, 실제 효력이 있는 것은 영문 문안이다. 제2차 세계대전의 책임자들을 단죄한 뉘른베르크 국제전범재판소의 판결문 등에도 ‘forced to work’는 강제노동의 의미로 사용됐기 때문에 일본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일본이 조선인들을 강제 노역에 동원한 것을 국제무대에서 처음으로 인정했다는 의미도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다만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그제 심야 기자회견을 열어 “한일이 극한대립을 피하고 대화로 문제를 풀었다”고 자화자찬한 게 딱하다. 등재를 끝내자마자 딴소리하는 일본에 뒤통수를 맞은 건지, 알고도 외교 성과로 포장한 것인지 의문이다.

일본이 약속한 강제징용시설 정보센터의 설치와 운영을 강제할 수단이 없다는 점도 걱정스럽다. 일본은 말 바꾸기에 이어 한국과 합의한 조치를 성실히 이행하지 않을 경우 국제사회에서도 신뢰를 잃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유네스코#세계유산#조선인 강제노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