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하태원]한미연합사령관의 깃발 3개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0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주한미군 사령관에게는 2개의 ‘모자’가 더 있다. 유엔사 사령관과 한미연합사 사령관을 겸직하기 때문이다. 1950년의 유엔 대북(對北) 군사제재 결의 1511호(6월 27일)와 유엔사 설치결의 1588호(7월 7일)에 따라 만들어진 자리가 유엔사 사령관이고 초대 사령관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었다. 유엔사의 작전통제권은 1978년 11월 한미연합사가 창설되면서 연합사로 넘어갔다. 평시 작전통제권이 한국군에 이양된 것은 김영삼 정부 시절인 1994년이다.

▷3개 모자의 무게를 따지자면 아무래도 한미연합사 사령관 쪽으로 기운다. 한반도 유사시 한국군과 미군을 합친 70만 대군의 전시 작전통제권을 행사할 때는 한미연합사 사령관 자격이다. 유엔사 사령관의 1차 책무는 정전(停戰)체제 관리다. 군사정전위원회 가동과 비무장지대(DMZ) 내 경계초소 운영 등의 책임을 맡고 있지만 역할은 크게 줄었다. 2만8500명 주한미군의 최고 지휘자로 활동할 때는 주한미군 사령관 모자를 쓴다.

▷2일 서울 용산 미군기지 나이트필드에서 열린 한미연합사령관 이·취임식에서 넘겨받은 지휘기도 연합사, 유엔사, 주한미군사령부 순(順)이었다. 내빈 중 서열 1위인 김관진 국방부 장관과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이 이번에 물러난 제임스 서먼 사령관에게서 연합사 기를 받아 신임 커티스 스캐퍼로티 사령관에게 건넸다. 다음으로 한미군사위원회 미국 대표인 마틴 뎀프시 합참의장이 유엔사 기를, 새뮤얼 로클리어 태평양사령관이 주한미군 기를 각각 전달했다.

▷한미가 합의한 전작권 전환 시기가 2015년 12월이었으니 예정대로였다면 스캐퍼로티 사령관은 전작권을 가진 마지막 미군 사령관이 될 뻔했다. 앞으로도 3성 또는 4성 장군 급의 주한미군사령관이 부임하겠지만 전작권 전환 이후 연합작전이 펼쳐질 경우 미군 사령관은 한국군 사령관의 지휘를 받게 된다. 그러고 보니 스캐퍼로티 사령관은 한국 파견 직전 4성 장군으로 진급한 신참 대장이다. 주한미군 사령관이 2개의 지휘기만 인수인계할 날도 머지않았다.

하태원 논설위원 triplet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