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이 깊어 들판은 온통 서리로 하얗게 덮여 있어 그 위를 걷는 말은 발굽이 서리가 묻어 뽀얗습니다. 서리 밑에 붉은 단풍잎이 깔려 있다고 생각하면 더욱 운치가 있겠지요. 들판의 소가 붉은 석양을 받아 쇠뿔이 발갛게 물들어 있습니다. 그 배경은 파란 하늘과 붉은 노을이 그려지겠지요. 숲은 휑하니 낙엽이 졌기에 가지 위에 앉은 새가 훤하게 보입니다. 이에 비해 산속에 있는 집은 뿌연 안개에 잠겨 보이지 않습니다. 붓을 들면 알록달록 곱게 색은 칠할 수 있겠지만, 이 시의 정취는 담기가 쉽지 않을 듯합니다.
세상에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름다운 시를 쓴 시인이 조선시대에 제법 많았습니다. 이공무보다도 더 알려져 있지 않은, 18세기 초반 유동양(柳東陽)이라는 시인이 ‘목동(牧童)’이라는 시에서 “소 몰고 오는 맨발의 아이놈, 소 등에 가을 산빛을 가득 실었네. ‘이랴, 이랴’ 더벅머리 긁적긁적, 달 뜬 밤에 노래 부르며 돌아오네(驅牛赤脚童, 滿載秋山色. 叱叱搔蓬頭, 長歌歸月夕)”라 한 것도 운치 있는 가을 풍광입니다. 가난하여 남루한 옷을 입었지만 가을빛을 사랑하여 지게에 단풍잎을 함께 꺾어 실었나 봅니다. 달밤에 흥얼흥얼 노래 부르며 산길을 내려오는 아이의 모습이 절로 정이 갑니다. 그림에 자신이 없더라도 머릿속에는 이러한 가을풍경이 절로 그려질 겁니다.
[송평인 칼럼]가짜 진보 몰아낼 3년의 시작일 뿐인데…
윤희숙 “백신 장담하고 사라진 정세균…국민이 얼마나 만만하면”
왜 정부는 전체 국민 백신접종률을 발표하지 않을까[이진구기자의 대화, 그 후- ‘못다한 이야기’]
이준석 “내가 차마 말 못했는데 김종인 ‘주호영, 安과 작당’ 정확했다”
이성윤 기소 ‘키’ 쥔 조남관 총장 권한대행의 최종 결정은?
초선 김웅, 국민의힘 당대표 여론조사 ‘깜짝 2위’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