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옥스퍼드대 사회학과의 데이비드 스턱클러 박사팀은 지난주 영국의료저널(BMJ)에 공개한 연구 논문에서 1인당 사회복지 예산이 80유로(107달러) 깎이면 음주와 관련한 사망은 약 2.8%, 심장병에 의한 사망은 약 1.2% 각각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스턱클러는 "재정지출 삭감은 국민의 건강에 심각한 타격을 주게 될 것"이라고 지적한 뒤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의사와 약품만의 문제가 아니다"며 "사회적인 보호와 지원은 질병을 예방하는데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스턱클러는 또 정부 지출 삭감보다는 경기 침체 자체가 조기 사망률 상승으로 연결된다는 견해에도 이의를 제기했다. 불황기에 사회복지 지출이 유지된다면 불황과 사망률 상승의 고리는 깨질 수 있는 반면 긴축재정을 통해 사회복지 지출이 줄어든다면 그 고리는 더욱 견고해진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스턱클러는 그 예로 러시아가 1990년대 초반 자본주의로 급격히 이행하면서 복지 예산을 줄였다가 자살과 심장병 및 음주에 따른 사망률 증대에 직면한 반면 미국은 1930년대 대공황 시절 복지 시스템을 태동시킴으로써 조기 사망과 만성질환을 줄일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 런던에 소재한 건강 관련 왕립 싱크탱크의 수석 경제학자인 존 애플비는 "올해와 내년 (삭감될) 복지 예산과 국민 건강을 연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면서도 "그에 대한 모든 연구를 통해 우리가 아는 바는 실업률이 국민의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뉴스팀
“박범계 장관님 살려주십시오” 평검사가 올린 풍자글
“땅 샀는데 갑자기 신도시 지정된 것” LH투기 옹호한 변창흠
[이기홍 칼럼]코로나보다 집요한 정권 포퓰리즘… 퇴치 백신 나올까
정상명-안대희-박영수… ‘윤석열의 사람들’ 관심
춘천 간 이낙연 대표, 얼굴에 계란 테러 봉변[청계천 옆 사진관]
조국 “尹, 표적수사하다 사직” 권경애 “검찰해체하다 사퇴 만들어”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