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려는 정치를 반성, 여야 함께가자” 한나라 김무성 국회연설

  • Array
  • 입력 2010년 6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국정실수 이례적 인정]
“국민의 마음 제대로 못읽어
세종시 충청도민 뜻 존중
4대강 반대자는 설득할 것
野, 무조건 반대 말아달라”

[야당과 정치복원 강조]
정세균 내각총사퇴 주장에
“서로에게 상처는 그만주자”
선거제도개혁 등 과제 제시
“대북규탄결의안 처리” 제안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의 9일 교섭단체 대표 연설은 한마디로 6·2지방선거 참패에 대한 자성(自省)의 목소리였다. 국민에게 오만하게 비친 여권의 ‘일방통행식’ 국정운영 스타일을 전면 쇄신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여당 원내대표가 국정운영의 실수를 자인한 것은 이례적이다.

○ 국민에게 ‘반성과 변화’ 다짐

김 원내대표의 연설은 통렬한 반성으로 시작됐다. 그동안의 국정운영 방식에 대해 “열심히 일했으니 국민이 알아주고 반대하는 목소리는 늘 그 정도는 있는 것으로 생각했고 결과로 보여주면 될 것으로 믿었지만 결과적으로 국민의 마음을 제대로 읽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다른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은 일방적 리더십의 문제점을 인정한 것이다.

그가 “그동안 논란이 돼온 주요 국정과제를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것도 반성의 출발점으로 보인다. 논란이 된 주요 국정과제는 세종시 수정안과 4대강 사업이다. 먼저 세종시 수정안에 대해서는 “이번 선거에서 드러난 국민과 충청도민의 뜻을 존중해서 합리적인 방향으로 해결해 나가겠다”며 수정안 추진을 포기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정옥임 원내대변인은 “야당은 물론이고 당내에도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하는 의견이 있어 국회 처리가 힘든 현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가 9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김원내대표는 “세종시 수정안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종승 기자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가 9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김원내대표는 “세종시 수정안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종승 기자
반면 4대강 사업의 접근법은 조금 달랐다. 4대강에 대한 반대 여론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설득 노력을 기울이겠지만 4대강 사업 자체는 양보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 김 원내대표가 “(4대강 사업이 논란이 된 것은) 사업의 실상과 진실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결과”라며 안타까워한 이유다.

그는 야당과 반대 세력에 대해 “‘중단이냐 강행이냐’의 이분법적인 태도를 버려 달라. 무조건 안 된다고 하지 말고 함께 고민할 것을 부탁한다”고 하면서도 “(반대하는) 그분들이 제기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꼼꼼하게 챙겨듣겠다”고 자세를 낮췄다.

김 원내대표는 이번 연설을 준비하면서 당내 의견을 폭넓게 수렴했고 주요 내용에 대해선 청와대와도 일정한 교감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현재로선’ 세종시 문제를 포함해 기존의 정부 정책 방향에 변화가 없다”고 했다. 하지만 앞으로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응책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 여야 관계의 ‘정치복원’ 강조

김 원내대표는 야당을 상대로 ‘정치복원’의 화두를 던졌다. 야당에 대해 “여야는 서로 제압하고 배척하는 대상이 아니다”라며 “새로운 파트너십을 만들어 가자”고 말했다. 이번 지방선거 후 민주당 정세균 대표가 내각 총사퇴를 요구한 데 대해 “서로에게 상처는 그만 주자”고 제안했다. 한나라당 의원들에게도 “목표를 백전백승에 둬서는 안 된다. 좀 더디 가더라도 야당과 함께 가자”고 당부했다.

김 원내대표는 국회가 해결해야 할 정치개혁 과제로 △개헌 △선거제도 개혁 △행정구역 개편을 들었다. 이는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이 제시했으나 그 후 세종시 수정안 등 다른 현안에 밀려 그동안 정치권에서 논의가 중단된 사안들이다.

그는 또 “국가안보 앞에는 여야가 있을 수 없다”며 “이번 임시국회에서 대북규탄결의안을 통과시키자”고 제안했다.

민주당 전현희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6·2지방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에 대해 반성하고 앞으로 국회 운영에서 상생정치를 다짐한 부분에 대해선 환영한다. 그러나 한나라당 내부에서조차 제기되는 인적쇄신 주장은 언급하지 않고 정세균 대표의 내각 총사퇴 요구를 비난한 것은 잘못이다”라고 비판했다.

김기현 기자 kimkih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