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윤강로]평창 동계올림픽 3수 성공하려면

  • 입력 2007년 9월 5일 02시 59분


코멘트
평창의 꿈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3일 김진선 강원도지사가 2018년 동계올림픽 도전 선언을 했지만 최종 결론이 난 상태는 아니다. 강원도민의 총체적 의견 수렴, 정부 및 대한올림픽위원회(KOC)와의 의견 조율 등 과제가 산적하다.

이 시점에서 평창의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의 패인을 짚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누가 옳고 그르냐’를 따지자는 게 아니고 ‘무엇을, 어떻게, 왜’에 초점을 맞춰 반성할 부분은 철저히 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 표명 도시는 평창을 비롯해 미국 덴버 또는 레이크타호, 노르웨이 트롬쇠, 스웨덴 오스테르순드, 독일 뮌헨, 중국 창춘 등이다. 이 중 중국은 동북공정의 화룡점정을 위해 백두산 일대에 동계올림픽 유치 프로젝트를 오래전부터 준비해 왔다. 2007년 동계아시아경기를 성공적으로 치른 창춘의 인프라와 신설될 백두(창바이)산 공항이 기반시설이다. 그동안 중국은 평창이 개최 명분으로 쌓아 온 아시아 대륙의 동계스포츠 확산과 차세대 올림픽 유산 등의 비전을 송두리째 공유해 ‘중국=아시아’란 등식을 앞세워 평창을 위협할 게 분명하다. 특히 내년 베이징 올림픽 기간 중 20여 일간 체류할 115명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을 상대로 전방위로 로비전을 펼칠 것이다. 그렇다고 러시아(소치)에 놀란 가슴, 중국(창춘)보고 지레 포기해서는 안 된다. 지금부터 철저히 대비하면 승산이 있다.

평창은 이미 IOC와 동계 종목 국제연맹(IFs), 그리고 국제 스포츠계로부터 유치 계획에 대한 공인을 받았다. 평창의 국제 인지도와 신인도, 개최 명분, 대회 개최 능력도 세계 최상급임을 인정받았다. 그렇다면 이 부분에 대한 예산은 오히려 줄여야 한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평창의 2018년 유치 파일 작성, IOC 현지 실사 및 국내외 홍보 예산 등은 최소화해 명맥만 유지하는 수준이 바람직하다. 이보다는 2018년 평창유치위원회를 국제특별위원회 성격의 조직으로 특화해 ‘IOC 위원의 표심잡기 전략조직’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 대회 유치의 성공 여부는 결국 누가 IOC 위원으로부터 많은 표를 얻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IOC 위원의 표심과 추이를 살펴보자. 2010년 동계올림픽 유치전 때 51명(1차 투표)∼53명(2차 투표)이었던 평창 지지 성향의 위원 10여 명이 정년퇴임해 2014년 때는 평창의 우군 위원이 10여 명이나 줄었다. 2018년 유치전 때 위원은 25명 정도가 물갈이된다. 이 중 평창 지지 위원은 10∼13명이다. 결국 2018년 대회 유치를 결정할 2011년 IOC 총회에서 평창 지지 성향의 위원은 급격히 줄게 된다.

그렇다면 해답은 나와 있다. 활용 가능한 스포츠 외교인력을 국가차원에서 총동원해 새로 선임되는 IOC 위원 포섭에 투입해야 한다. 다가오는 베이징 올림픽,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비롯해 각종 국제 스포츠 회의 및 행사에 이들을 대표로 참가시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지속적으로 활동을 하게 해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스포츠 외교 인력을 양성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국가 차원에서 결단을 내려야 할 때다.

윤강로 국제스포츠 외교연구원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