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서울의 ‘센트럴파크 꿈’ 이룰 마지막 기회

  • 입력 2006년 8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 용산 미군기지 주변 지역에 아파트와 주상복합건물을 지어 5조 원대의 미군기지 이전 비용을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건설교통부의 법안에 대해 서울시가 반대하고 나섰다. 입법예고 중인 이 법안이 용산기지 주변 지역뿐만 아니라 공원으로 조성할 땅 일부도 언제든 상업 용도로 개발할 근거가 될 수 있다면서 관련 조항의 삭제와 수정을 요구한 것이다.

서울 도심의 허파 역할을 하게 될 용산기지의 녹지 공간을 일부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의 앞마당으로 만들 수 없다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생각은 옳다고 본다. 건교부는 용도 변경은 사회적 합의를 거쳐야 하므로 건교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고 반박한다. 하지만 이 법안이 공원용지 일부를 상업용으로 용도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둔 것만은 틀림없다.

서울시가 ‘용산 민족공원’의 당위성만 부각하려는 자세에도 문제가 없지는 않다. 숲이 우거진 공원이 되면 그 혜택은 서울시민이 누리게 될 텐데 재원 문제를 중앙정부에만 떠넘긴다면 무책임하다. 오 시장도 재원 마련을 위해 용산 철도공작창 터나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센터(DMC) 등 10여 곳의 국유지를 상업 용도로 변경해 줄 수 있음을 내비치기는 했다. 그러나 이는 자칫하면 이들 지역은 마구잡이로 개발해도 좋다는 뜻으로 들릴 수 있다. 서울시는 재원 조달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용산기지는 124년 만에 돌려받게 되는 아픈 민족사의 현장인 동시에 콘크리트 빌딩으로 뒤덮인 서울 도심에 한줄기 숨통을 틔워 줄 보배 같은 곳이다.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나 영국 런던의 하이드파크 못지않은 시민의 좋은 휴식처가 될 수 있다. 앞으로 서울 도심에 이만한 규모의 공원 녹지를 가질 기회는 없다.

용산기지 활용 문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민족의 자긍심 회복과 도시 생활환경 개선이라는 큰 밑그림에서 풀어야 한다. 돈 때문에 섣불리 달려들었다가는 아파트 빌딩에 가려진 한강변처럼 도시계획의 재앙이 될 수 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