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마르크스 벗어나니 라캉 푸코가… '철학의 외부'

  • 입력 2002년 3월 22일 17시 48분


◇ 철학의 외부 /이진경 지음 /397쪽 2만원 그린비

철학의 ‘바깥’은 어디일까? 아니 무엇일까? 이런 ‘바깥’은 안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질 것이다. 이 책은 ‘철학의 외부’란 제목을 달고 있지만, 이 안과 바깥은 자본주의의 안과 그 바깥이다. 주어진 자본주의의 질서 안에서 안정을 추구할 것인가? 그런 길들여짐을 거부하고 새로운 자유와 긍정적 능력을 창조할 것인가?

실제로 저자가 문제삼는 바깥은 ‘마르크스주의의 외부’, 곧 기존 변혁이론의 틀로 소화할 수 없는 바깥, 곧 (해방을 좌절시킨) 구체적 현실이다. 이런 바깥과 대면하기 위해 저자는 기존의 틀을 다르게 사고하고 차이의 철학들로 그 기획을 보완한다. 과연 어떻게 이 바깥의 사고가 지닌 가능성들을 새로운 해방의 기획과 접합시킬 것인가?

저자는 이런 문제의식으로 라캉, 푸코, 들뢰즈와 가타리, 네그리 등을 다룬다. 물론 바깥의 철학을 지향하는 저자에게 라캉은 주체들의 욕망을 구조 안에 묶어두는 질서의 이론가에 지나지 않는다.

푸코의 담론이론에 대해서는 어떻게 담론 바깥의 실천과 사건을 끌어들이고 비담론적 실천들과 겹치면서 현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려는지 살핀다.

저자는 이 작업의 보다 구체적 결실인 미시 권력의 작용을 정리하면서 어떻게 권력들의 ‘배치’가 근대 주체를 만들어내는지 추적한다. 물론 저자는 푸코가 주체를 만드는 권력에 대한 저항과 적대 문제에 부닥치고 만다는 점 때문에 해결책은 들뢰즈와 가타리 쪽에서 찾는다.

먼저 들뢰즈의 ‘사건의 존재론’을 유물론적으로 해명한 뒤에 정착적 틀에 대비되는 유목적(nomade) 틀을 도입한다. 정착주의는 자기 것에 울타리를 치고 안정된 삶을 추구하면서 정해진 도로로만 다니기에 사실상 억압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유목주의’는 열린 공간에서 새로운 길을 열면서 다른 세계와 삶의 방식으로 탈주하기 위해 매끄럽게 가로지른다는 점에서 기존 질서를 전복시키면서도 창조적 힘을 갖는다.

저자는 들뢰즈를 통해 토지, 노동수단, 화폐를 비축해서 지대, 이윤, 세금을 포획하는 자본주의적 장치의 비밀을 밝힌다. 자본주의는 자본과 노동의 자유로운 흐름을 만드는 열린 체계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엄격한 체계로 모든 흐름을 가두려고 한다. 그런데 이런 체계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는 까닭에 탈주 가능성을 막지 못한다. 따라서 문제는 이렇게 열린 공간에서 자본주의를 벗어나는 정치학을 밝히는 것이다. 여기서 저자가 들뢰즈를 마르크스와 접속시키는 까닭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하나의 주제로 일관된 체계를 갖춘 것은 아니지만 이질적인 이론적 단편들이 몽타주처럼 하나의 문제 틀로 연결된다. 들뢰즈를 비롯한 차이의 철학과 정치학들을 새로운 해방의 기획에 접속시키려는 저자의 노력이 아직 윤곽 그리기에 그쳤지만 그 지향점을 분명하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저자의 다음 작업을 조심스럽게 지켜보고 싶다.

양 운 덕 문예아카데미 강사·서양철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