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말한다]'미술,전시,미술관'펴낸 김형숙 연구원

  • 입력 2001년 7월 6일 18시 51분


뮤지올로지(Museology). 우리말로 해석하면 ‘미술관학’ 또는 ‘박물관학’쯤 되는 이 단어는 아직 일반인들에게 낯설다. 하나의 학문분야가 될만큼 미술관에 대해 알아야할 게 그렇게 많을까?

서울대 강사이자 일민미술관 연구원인 김형숙(사진)씨의 대답은 “물론 그렇다”이다. 그리고 우리는 미술관이라는 전시 공간에 대해 “너무 모르고 있다”고 말한다. 김씨가 최근 펴낸 ‘미술, 전시, 미술관’(예경)에는 이같은 미술관에 대한 지식이 상세히 담겨 있다.

최근 미술관련 서적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특정 작가나 사조의 작품 해설서나 큐레이터의 임무나 역할 등을 기술한 기능서가 대부분이다. 이 책이 기존의 책과 구별되는 것은 미술관에 대해 문화이론적 접근을 시도하는 점이다.

“미술관은 미술을 미술이게 하는 제도 중 하나에요. 미술에 담겨진 문화 코드를 읽으려면 작품이 전시되는 미술관의 생리를 잘 알아야 하죠.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논의가 거의 전무한 수준이에요.”

김씨는 미술관에 작품이 배열되는 방식을 보면 그 당시의 정치적 미학적 담론이 숨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한다.

“‘미술사’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시작되던 18세기에는 미술의 역사적 측면을 시각화하기 위해 연대기별로 작품을 전시하는 방식이 유행했지요. 20세기 중반 형식주의 미학이 대두하면서 관객이 작품의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벗어나 오직 작품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흰색 벽에 띄엄띄엄 작품을 전시했습니다. 20세기 후반에는 아방가르드 사조의 영향으로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설치미술이 시도됐고요.”

이 책에서 김씨는 ‘전시’라는 상황 그 자체를 하나의 해석 대상으로 삼으면서 관객과의 소통 문제를 전시를 통해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에 대해 논의했다.

“미술관에 가면 괜히 주눅이 든다고들 말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는 관객이 무식해서가 아니라 관객과 소통하는 방법을 터득하지 못한 국내 미술관의 잘못 때문이죠. 미술이란 일부 상류층이 향유하는 ‘고상한 취미’라고 잘못 인식되고 있어요.”

김씨는 국내 미술관이 작품의 수집과 보존의 기능만을 중시하고 교육적 측면은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선진국의 경우처럼 우리도 미술관 내에 교육담당 부서를 반드시 설치토록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책은 수천년에 걸친 미술관의 역사를 소개함과 동시에 미술관을 둘러싼 여러 지식들을 치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저자 스스로는 이 책이 일반인보다 미술전공자들을 위한 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미술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통해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실감하게 될 것이다.

<김수경기자>sk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