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통신비가 기가막혀",91년 1만원->95년 2만원->2000년 20만원까지 껑충

  • 입력 2001년 4월 29일 18시 27분


‘먹는 것이 중요한가, 통하는 게 중요한가.’

엥겔계수에 이어 정보통신(IT)계수가 생활의 질을 가늠하는 척도로 떠오르고 있다.

수년전만 해도 가계부에서 통신비는 교통비 안에 포함되어 있었다. ‘교통통신비’로 한데 묶일만큼 지출규모도 크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교통비를 상회하면서 ‘독립된’ 가계의 주요 지출항목으로 떠올랐다. 최근 조사결과 서울 수도권지역 가구당 정보통신비 지출은 평균 16만원을 넘어섰다.

유선전화에 이어 휴대전화와 PC통신, 그리고 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ADSL) 서비스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생활비에서 T비용이 차지하는 이른바 ‘IT계수’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IT서비스 요금을 감당하지 못해 ‘신용불량자’로 낙인찍히는 사람도 생겨나고 있다. 가정에서는 과도한 휴대전화 요금을 둘러싼 부모 자식간의 실랑이를 흔히 볼 수 있다.

▽가계부에 비친 정보통신비〓전형적인 서울 중산층 가정의 알뜰주부 박미숙씨(44·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가계부를 91년치부터 들여다 보자.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월평균 통신비는 1만원대였다. 1994년부터는 1997년까지도 월평균 통신비는 2만원대에 머물렀다. 1998년 들어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전화비는 2만원대였지만 남편 오명수씨(48)가 휴대전화를 쓰면서 통신비는 5만원대로 껑충 뛰었다. 하지만 아직 부담을 느낄 정도는 아니었다.

99년 4월 자녀들이 PC통신을 시작하고 부부 모두 휴대전화를 쓰기 시작하면서 통신비 지출은 하루가 다르게 늘어났다. 첫째 아이와 둘째 아이가 PC통신에 한창 관심을 보이던 2000년 2월에는 통신접속에 따른 전화비만 14만4000원이 나왔다. 1999년 4월∼2000년 4월중 월평균 통신비는 10만4840원.

작년 5월 초고속통신망인 ADSL(월정액 3만6000원)을 들여놓으면서 PC통신을 끊자 전화비는 잠시 3만원대로 떨어졌다. 그런데 진영이와 가영이에게 휴대전화를 장만해주자 통신비 지출은 다시 걷잡을 수 없이 폭증했다. 두 자녀의 휴대전화를 해지하기 전인 작년 10월까지 박씨 가정의 월평균 통신비는 20만원을 넘어 30만원에 육박했다.

“중학교 2학년이던 둘째의 휴대전화요금이 많을 때는 6만원까지 냈어요. 한달에 문자메시지만 800∼1000건을 보내는 것 같더라고요. 같은 반에 여학생이 13명인데 10명이 휴대전화를 갖고 있답니다.”

두 자녀의 휴대전화를 해지하고나자 월통신비는 절반수준인 10만∼11만원대로 떨어졌다.

▽휴대전화가 정보통신비 증가 주도〓서울YMCA 시민중계실이 작년 서울 경기 지역 주부 3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가정의 월평균 통신비는 16만5000원으로 나타났다. 통신서비스별로는 휴대전화가 9만6000원, 유선전화 4만7000원, 인터넷 2만2000원 등의 순이었다.

특히 휴대전화의 경우 비용이 높은 만큼 심리적인 부담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82.7%가 “휴대전화 지출이 소득에 비해 매우 크거나 다소 크다”고 응답했다. 인터넷은 이 비율이 63.4%였고 유선전화는 55.0%였다. 서비스의 편리성과 유용성에 비해 이동전화의 가격이 저렴하다고 한 응답자는 한명도 없었고 93%가 “매우 비싸다”거나 “다소 비싸다”고 답변했다. 인터넷은 이 비율이 74.5%, 유선전화는 65.4%였다.

▽정보통신비 왜 늘어나나〓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사회로 넘어가는데 따른 당연한 현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그러나 최근의 증가추이를 보면 ‘통신 과소비’로 인한 거품도 많다는 지적이다.

70년대에는 전화비를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자물쇠로 잠가놓은 전화기가 흔했다. 또 80년대에도 집안에 전화가 있지만 집밖 공중전화부스에서 시외전화를 거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90년대 초 중반에도 지갑 안에 공중전화카드 몇장을 넣어다니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에 비해 지금은 ‘조용한’ 공중전화 부스안에서도 휴대전화를 거는 모습이 낯설지 않다. 한국통신의 공중전화 통화료 수입은 1998년 7228억원에서 1999년 6191억원, 2000년 4520억원으로 급감하고 있다. 2년 사이 37% 이상 감소했다.

외국인들은 한국의 10대 청소년들이 휴대전화를 들고 다니며 문자메시지를 하는 것을 신기하게 바라보고 있다.

▽통신 과소비의 귀결〓“너 어디야?”“지금 가고 있어.” 휴대전화의 내용 가운데는 불필요해 보이는 통화내용이 흔하다. 이같은 통신과소비는 결국 신용불량자까지 양산하고 있다. 한국신용정보와 한국신용평가정보 등 2개사가 정보통신회사들로부터 ‘대신 받아달라’고 위임받은 연체료 잔액은 1998년말 1000억원에서 1999년말 1600억원, 2000년말 3000억원, 올해 3월말 3200억원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한국신용정보 등이 위임받은 연체료는 낼 시기가 9개월 이상 지난 악성 연체료 중 일부. 따라서 정보통신회사들이 자체적으로 떠안고 있는 연체료까지 합하면 천문학적인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한국소비자보호원 자동차통신팀 이선화차장은 “통신 관련 소비자 민원중 가장 많은 유형은 10대들이 부모 몰래 편법으로 휴대전화서비스에 가입한 뒤 10만원대 이상의 통화료를 연체하는 경우”라면서 “휴대전화는 수다를 떠는 도구가 아니라 급할 때 사용하는 통신수단이라는 사실을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차장은 “어른들도 TV 한대 값에 해당하는 단말기를 함부로 다루는 등 과소비가 심하기는 마찬가지”라며 “올바른 통신문화를 세우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천광암기자>i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