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문화콘텐츠회사 성공의 조건

  • 입력 2001년 2월 15일 18시 59분


21세기는 문화 콘텐츠로 국가경쟁력을 겨루는 ‘문화의 세기’다. 하지만 우리의 문화 콘텐츠사업은 아직 걸음마단계다. 지난해 영화 방송 등 문화콘텐츠사업의 총 매출액은 국내총생산액(GDP)의 1%에도 못미쳤다.

정부가 문화 콘텐츠 개발 전문회사인 ‘코리아ⓔ뮤지엄(한국전자박물관)’을 설립해 이를 집중적으로 개발하기로 한 것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특히 디지털위성방송 출범 등으로 2005년까지 1000여개의 방송채널이 새로 생겨나고 인터넷 인구도 3000만명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새 회사는 한국의 문화유산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비롯해 방송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고부가가치의 콘텐츠를 집중개발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 문화 콘텐츠의 투자 마케팅 사업도 함께 편다는 것이다. 정부는 일본의 ‘e―저팬’이나 영국의 ‘디지털 콘텐츠 실천계획 2000’처럼 국가전략산업으로 문화 콘텐츠 사업을 키워간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관(官)주도로 출발하면서 정부가 백화점식으로 모든 것을 다 하려 한다는 등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이 같은 우려를 씻을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우선 회사 설립 때부터 민간 영역의 역량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의 전문가들이 활발히 참여하게 해야 할 것이다. 국내는 물론 해외 마케팅에 능력 있는 전문가들도 적극 찾아야 한다. 정부는 그처럼 길을 닦으면서 점진적으로 개입폭을 줄여 가는 게 바람직하다.

문화 콘텐츠를 연구하고 개발할 첨단 전문인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다. 아직 이 분야의 전문인력이 크게 부족한 게 우리의 현실이다. 이를 위해 고교와 대학에 콘텐츠 특성학과를 설치하고 전문프로듀서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도 개설할 계획이라니 지켜보겠다.

새로 설립되는 ‘코리아ⓔ뮤지엄’은 공공기금과 민간자본을 반반씩 투자해 초기자금 2000억원으로 출발한다는 계획이다. 민자유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려면 무엇보다 투자자들이 이 사업의 지속성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전시성으로 시작했다가 장관이 바뀌면서 흐지부지돼 버리는 사업이 우리나라에는 너무도 많았다. 예산과 민자(民資)만 잔뜩 쏟아 넣고 뒤에 가서 실패하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치밀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코리아ⓔ뮤지엄’이 우리나라가 문화선진국으로 가는 전진기지가 되길 바란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