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해외뉴스]화장실,전철에서 읽을 수 있는 전자종이 출현

  • 입력 2001년 1월 29일 10시 00분


종이 신문이 인터넷 신문보다 좋은 점 가운데 하나는 전철 안이나 화장실에서도 읽을 수 있고 눈앞에서 신경쓰이게 하는 파리를 잡는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러나 이런 구별이 조만간 사라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파리잡는 도구로는 아직 부족하지만 곧 화장실에서도 인터넷 신문을 읽는 정도는 가능해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최근 매사추세츠주의 'E잉크'사는 전자잉크를 사용하며 마음대로 휘는 가로 세로 25인치의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이 회사의 러스 윌콕스 부사장은 자사가 개발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대해 "이 4장 정도의 두께에 종이와 같은 질감과 모양을 갖추고 무선통신을 통해 자동적으로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형태가 될 것"이라면서 "사용되는 전자 잉크는 전력소모도 기존 디스플레이에 비해 획기적으로 낮다"고 말했다.

또 캘리포니아주 소재의 '자이리콘'이라는 업체도 최근 전자 종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E잉크의 전자잉크가 검은칩과 흰 칩이 들어있는 마이크로 캡슐에 전기적 자극을 통해 문자와 그래픽을 표현하는데 비해 자이리콘의 전자종이는 플라스틱 판 사이에 흑백 구슬이 들어있는 액정 디스플레이다. 이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이 전기적 신호에 반응하면서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혹은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15볼트의 전압을 사용, 200dpi 의 해상도를 구현하는 수준이며 조만간 600dpi 수준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전자 잉크나 전자 종이는 메시지를 전기적으로 쓰고 지울 수 있으며 선명도도 기존의 인쇄보다 훨씬 뛰어날 뿐 아니라 잘 찢어지지도 않고 전력소모도 현재의 디스플레이 기술보다 훨씬 낮다는 게 관련 업체측의 설명. 전문가들은 향후 5년 이내에 이러한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종이 기술이 가장 활발하게 도입될 분야로는 전자신호시장이 꼽히고 있다. E잉크가 자사 기술의 응용상품으로 내놓은 제품인 '이미디어'(Immedia)는 행인에게 메시지를 흘려보내는 상점 광고판과 비슷한 형태다. 가격조건만 맞춰진다면 거리에 수없이 나붙는 포스터나 상점에 붙은 상품광고들이 전자종이로 대체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디스플레이 시장 전문가들은 광고게시물, 인쇄, 간판 등 기존 디스플레이기술을 포함하는 광고 디스플레이 시장의 총 규모가 연간 수십 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재의 전자종이 기술이 안고 있는, 느린 응답 속도로 인한 잔상현상, 해상도, 컬러구현 등의 문제가 해결된다면 전자종이와 전자잉크는 디스플레이업계에 혁명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의 전자 종이 기술도 이러한 문제를 말끔히 해결하지는 못한 상황"이라며 "여기에 원거리에서도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무선기능도 제대로 갖춰야 진정한 전자 종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 기존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 기술 등 전자잉크와 경쟁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많이 나오고 있어 전자 종이 기술은 틈새 디스플레이 기술밖에 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전문가들은 전자 종이와 전자 잉크가 서적과 신문의 가격 경쟁에서 이길 수 있을지도 불투명한 상태라며 일반인들의 섣부른 기대감을 경계하고 있다.

[CNET제공]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