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이슈분석] 서울외국환중개 출발부터 '절룩'

  • 입력 2000년 9월 15일 12시 33분


서울자금중개회사가 서울외국환중개회사로 이름을 바꿔 18일부터 영업에 나선다.

금융결제원의 자회사로 설립된 이 회사는 당초 외환은 물론 원화자금(콜)도 중개할 계획이었으나 이런 저런 사정이 얽혀 외환중개만 하는 절름발이 출범을 하게됐다.

외환중개 수수료 규모는 원화중개 수수료의 3분의 1에 불과한데다 이마저도 한국자금중개와 절반정도씩 분점하고 있는 처지여서 서울외국환중개는 시작부터 생존기반이 위협받고 있다.

서울외국환중개가 이처럼 고단한 처지에 놓이게 된 것은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과 경쟁사인 한국자금중개 사장의 막강한 로비력 때문이라는게 금융계의 정설.

정부는 원화콜 중개와 외국환중개는 복수경쟁체제로 간다는 방침아래 서울외국환중개에 외환은 물론 원화콜중개업무를 허용하기로 했었다.

프레본야마네 등 금융선진국의 자금중개회사들이 국내진출을 추진하는 것에 대비해 국내 중개회사를 복수로 허용해 대외 경쟁력을 갖춘 중개회사를 육성하겠다는 취지였다.

그런데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자금중개회사의 인가권이 재경부에서 금융감독위원회로 넘어가면서 온데 간데 없이 사라졌다.

금융감독위원회는 이런 저런 핑계를 대며 서울외국환중개에 원화콜 업무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처음에는 원화콜시장이 작은데 두 회사가 경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가 이런 논리가 궁색해지자 서울외국환중개가 한국은행의 경비지원을 받는 금융결제원의 자회사로서 사실상 공기업이므로 자금중개시장에 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논리를 폈다.

서울외국환중개가 원화콜중개 업무를 하려면 금융결제원 100% 출자라는 주주구성을 바꿔야 한다는게 금감위의 입장.

결국 은행 등 금융기관을 주주로 끌어들이라는 것인데 경쟁사인 한국자금중개의 주주가 금융기관들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같은 요구는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똑같은 업종에 중복투자를 하라는 얘기여서 현실성이 없다는 게 서울외국환중개의 주장이다.

금감위가 서울외국환중개에 원화콜 업무를 막은 것은 한국자금중개 황영 사장의 힘(?) 때문이라고 금융계는 보고 있다

황 사장은 이용근 전금융감독위원장과는 고려대 경제학과 동창으로 친분이 두텁고 전철환 한국은행 총재와는 동향(전북 익산)출신으로 호형호제하는 사이로 알려져 있다.

황 사장은 이런 친분관계와 증권선물위원회 비상임이사라는 이용해 서울외국환중개의 원화콜중개 진출을 막았다는 게 금감위와 금융계 주변의 얘기다.

이용근 전금감위원장은 원화자금중개를 하지 않는 서울자금중개는 자금중개라는 명칭을 쓸수 없다며 이름을 바꾸지 않을 경우 소송을 제기하라고 실무자들을 질책했을 정도였다는 후문. 결국 서울자금중개는 서울외국환중개로 이름을 바꿀 수 밖에 없었다.

한국자금중개는 서울외국환중개의 모기업인 금융결제원이 독점하던 외국환중개업무를 작년 2월부터 허가받아 이시장의 절반정도를 점유하고 있고 원화콜중개는 독점을 하고 있어 그야말로 노다지를 캐고 있다는 게 금융계의 얘기다.

지난해 한국자금중개는 118억9천만원의 원화콜중개 수수료를 전액을 독식했고 외국환중개 수수료 36억8천만원중 상당부분을 잠식했고 최근에는 외국환중개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자금중개는 자본금 100억원에 이익잉여금이 77억원이고 콜론 대손충당금을 123억원이나 쌓아놓고 있을 정도로 탄탄한 재무구조를 자랑하고 있다.

금융계는 특정 회사의 사장이 고위공직자와 가깝다는 이유로 지나치게 편파적인 대접을 받고 있는게 아니냐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또 국내 자금중개회사의 대외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원화콜 독점은 폐지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병복 <동아닷컴 기자> bbm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