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姜正勳기자」 지난해 5월 삼천포시와 사천군을 합친 통합 사천시가 출범 1년반만에 과거로 돌아가느냐, 인근 진주시와 합치느냐는 기로에 섰다.
현상유지를 포함한 이들 3개안이 지방의원과 교수 등을 중심으로 활발히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출범 당시부터 「행정력에 의한 억지통합」으로 지적됐던 사천시의 진로문제는 앞으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시군 통합이후 마찰을 빚고 있는 지역들의 「시범케이스」가 될 전망이다.
사천시 출신 金宗太(김종태)도의원은 3일 오후 도정질의를 통해 △사천시와 진주시의 통합 △통합이전의 상태로 분리 △사천시명의 제3명칭 변경 등 3개안을 검토할 용의가 없느냐고 金爀珪(김혁규)지사에게 물었다.
김의원은 『통합시 출범이후 시청사 위치, 시의 명칭 등을 둘러싼 양지역 주민들의 갈등과 반목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천과 진주시 출신 일부 도의원들은 진주 사천의 통합을 제안해 주목을 끌고 있다.
姜春成(강춘성) 陳鍾奭(진종석)의원 등 7명의 도의원은 최근 모임을 갖고 『진주 사천시를 통합할 경우 진주의 교육문화시설 사천시의 첨단산업기지 구삼천포지역의 항만 등을 고루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들은 통합을 통해 사천지역의 갈등해소는 물론, 서부경남 발전의 중심축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된 경남지역사회개발원(원장 김영기)도 5일 「진주―사천 연담개발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사천 삼천포는 94년 주민투표에서 통합이 부결됐으나 정부와 경남도가 행정력을 총동원, 지난해 2차투표를 통해 통합을 성사시켰다. 사천시는 구삼천포지역 주민들의 「시명찾기 운동」에 통합시 행정타운의 위치선정 문제 등을 놓고 심한 갈등을 빚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