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더 내고 더 받자”…시민대표, 소득보장 찬성 많았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4월 22일 15시 05분


코멘트

시민대표단 492명 최종 설문조사 결과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에서 시민이 민원실로 향하는 모습. 2023.1.16.뉴스1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에서 시민이 민원실로 향하는 모습. 2023.1.16.뉴스1
국민연금 개혁안을 두고 ‘더 내고 더 받는’ 소득보장 안의 찬성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가 나왔다. 정부가 지난해 10월 보험료율 인상이나 소득대체율 조정 등이 빠진 ‘맹탕’ 연금 개혁안을 내놓은지 반년 만에 모수(母數) 개혁의 방향이 잡힌 것이다.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금개혁 최종안을 만들어 21대 국회가 마무리되는 다음달 29일 전 연금개혁안 통과를 시도하겠다는 방침이다.

22일 연금특위 공론화위원회는 시민대표단 500명(최종 4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금개혁 공론화 최종 설문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앞서 시민대표단은 국민연금에서 내는 돈(보험료율)을 소득의 9%에서 13%로 올리고 받는 돈(소득대체율)은 현행 40%에서 50%로 늘리는 ‘1안’과 내는 돈을 12%로 올리고 받는 돈은 현행을 유지하는 ‘2안’을 두고 이달 네 차례의 숙의토론을 진행했다. 또 숙의토론 전 1~2차 조사, 숙의토론 후 3차(최종) 조사를 실시했다.

공론화위에 따르면 1안대로 개혁 시 국민연금 기금 고갈 시점은 2055년에서 2062년으로 7년 늦춰진다. 그러나 받는 돈이 늘어나는 만큼 2093년까지 누적 적자가 기존 대비 702조 원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2안은 고갈 시점이 2063년으로 1안과 큰 차이가 없지만 누적 적자는 1970조 원 감소하게 된다는 재정안정에 방점을 뒀다.

공개된 설문 결과에 따르면 학습과 토론 전 실시된 1차 조사에서는 ‘더 내고 지금처럼 받는’ 2안이 44.8%로 1안(36.9%)보다 높게 나왔다. 하지만 약 20일간 의제별 학습을 거친 뒤 실시한 2차 조사에서는 1안(50.8%)의 답변 비율이 2안(38.8%)을 역전했다. 결국 최종 조사에서 1안(56.0%)은 2안(42.6%)보다 13.4%포인트 더 높아 다수안으로 선택됐다. 이를 두고 1차 설문에서 18.3%에 이르던 부동층(‘잘 모르겠다’ 선택)이 대거 1안을 택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최종 조사에서 부동층은 1.3%로 급감했다.

모수개혁안 외에도 국민연금 의무가입 상한연령을 64세로 높이는 방안에 대해 시민대표단 10명 중 8명(80.4%)이 동의했다. 현재 국민연금 의무 가입 연령은 59세까지다. 현행을 유지하자는 답변 비율은 17.7%에 그쳤다. 의무 가입 연령이 올라 가입 기간이 길어지면 연금 수령액도 늘어난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이 의무가입 연령을 64세로 높이면 가입자들은 보험료를 더 오래 내지만 대신 연금을 평균 13% 더 받는다고 분석한 바 있다.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 하위 70%를 대상으로 연금을 지급하는 기초연금 제도의 구조는 ‘현행을 유지하자’(52.3%)는 답변이 ‘수급범위를 점진적으로 축소하자’(45.7%)보다 6.6%포인트 높게 나왔다. 다만 이는 오차범위(±4.4%포인트) 이내였다.

세대간 형평성 제고방안으로 국민연금 지급의무 보장(동의 92.1%) 및 기금수익률 제고(91.6%) 방안을 대다수가 선택했다. 퇴직연금은 준공적연금 전환 방안이 4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