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빈대 대중교통 확산·증식 가능성 희박”

  • 뉴시스
  • 입력 2023년 11월 8일 14시 36분


코멘트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
"빈대 낮 시간엔 활동 활발하지 않아"

빈대가 전국 곳곳에 출몰하고 대중교통에서도 빈대가 나타났다는 시민들의 증거 사진까지 퍼지며 ‘빈대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는 빈대가 끊임없이 움직이고 불빛마저 밝은 대중교통 자체를 싫어한다며 대중교통에서의 빈대 확산 혹은 증식 가능성이 희박하기에 “공포심까지 가질 필요는 없다”며 안심 시켰다.

8일 양영철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는 YTN과 인터뷰에서 최근 기차, KTX, 지하철 등을 잇따라 이용한 한 시민이 자신의 외투에서 빈대가 나타났다며 관련 사진을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공개한 일과 관련해 “(사진 속 존재는) 빈대가 맞다”고 했다.

다만 “빈대 밑에 붉은색보다는 검은색 혈흔으로 봐 흡혈한 지 이틀 정도 되지 않았나 싶다”며 “이틀 전에 누군가를 통해서 대중교통에 빈대가 옮겨졌고 우연하게 그분의 트렌치코트에 붙어서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양 교수는 “빈대는 집에 서식한다”며 “그러는 동안 우연하게 가방 등을 은신처로 생각해 들어갔고 (가방 소유자가) 어디를 가다가 빈대가 다른 데로 옮겨가 트렌치코트나 이런 데 붙게 될 수 있다”라며 이번 빈대도 그런 예인 것 같다고 했다.

이번 일로 대중교통에도 빈대가 출현했다며 공포심까지 느낀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선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빈대가 전파되고 확산되는 경우는 굉장히 낮다”고 강조했다.

혹시 “(빈대가 묻어 있을까) 의심이 되면 집에 들어가기 전 현관에서 외투를 벗어 털어내면 진동으로 기어 나와서 뚝 떨어진다”고 한 양 교수는 “털어내면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양 교수는 “프랑스는 열 집 건너 한 집씩 빈대가 서식할 정도로 굉장히 밀도가 많고 살충제 저항성 때문에 방재가 잘 안 돼 대중교통 등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런 수준은 아니기에 너무 공포스럽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최근 서울 지하철 측이 직물(천)재질 의자에 빈대가 기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에 따라 ‘복합 PC 재질’ 의자로 소재를 점차 바꿔나갈 예정인 것과 관련해서도 답했다.

양 교수는 “빈대 습성을 볼 때 천의자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빈대가 숨어서 흡혈하고 번식하는데 대중교통에서는 번식이 쉽지 않다”는 점을 들며 “빈대가 대중교통을 번식하고 증식하는 그런 수단으로 이용하지는 못한다”고 했다.

즉 “대중교통은 사람들이 계속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탔다가 내렸다 하고, 빈대는 야간활동성으로 이른 새벽에 흡혈하기를 좋아하는데 대중교통은 굉장히 밝은 곳인데다 지하철이 움직여 진동이 있어 빈대 서식지로 아주 부적합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