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56% “앞으로 제사 안 지낼 것”…성균관, 현대화 권고안 내놓는다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10월 30일 10시 23분


코멘트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 조사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전통적 제례문화인 제사를 지내는 이들이 점차 줄어들 전망이다. 현재 성인 10명 중 6명가량이 집안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는 반면 제사 문화를 계속 이어갈 의향이 있는 이들은 4명 남짓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이하 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위원회가 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제례 문화 관련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9%가 ‘앞으로 제사를 지낼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현재 제사를 지내고 있다’고 답한 이들이 62.2%인 점과 비교했을 때 향후 제사를 계속 지내는 이들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제사를 지내지 않겠다는 이들은 그 이유로 ‘간소화하거나 가족 모임 같은 형태로 대체하는 것이 좋기 때문’(41.2%)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시대의 변화로 더는 제사가 필요하지 않아서(27.8%) △종교적 이유나 신념(13.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사를 계속 지내겠다는 이들은 △조상을 기리기 위해서(42.4%) △가족들과의 교류를 위해서(23.4%) △부모의 뜻을 이어가기 위해서(15.9%) △전통 유지(10%) 등을 꼽았다.

다만 제사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이들이 ‘간소화’ 등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했다. 응답자들은 제사를 지내는 과정에서 필요한 개선사항이 있느냐는 물음에 △제수 음식의 간소화(25%) △형식의 간소화(19.9%) △남녀 공동 참여(17.7%) △전통과 현대를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제사(17.2%) △제사 시간 변경(5.3%) 등의 순으로 답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위원회는 이같은 결과 등을 고려해 ‘현대화 제사 권고안’을 다음달 2일 발표한다. 권고안에는 부모나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일제’(忌日祭)에 관한 제안이 담길 예정이다. 제사 음식을 간소화하고 가풍, 지역 특성, 제사 형식·형편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평상시 반상 음식으로 준비하고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을 올릴 수 있도록 안내한다. 가족이 합의하면 초저녁에 제사를 지내도 된다는 내용도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