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메뉴 늘려라”…정부 요청에 단체급식 업체들 ‘고심’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27일 07시 14분


코멘트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이튿날인 24일 오전 인천의 한 횟집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8.25/뉴스1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이튿날인 24일 오전 인천의 한 횟집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8.25/뉴스1
이번엔 정부가 대형 급식업체와 간담회를 갖는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소비 감소 우려가 커지자 소비 촉진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그동안 정부와 기업 간 간담회 이후 소줏값 동결, 라면값 인하 등의 결과로 봤을때 이번 간담회 이후 단체급식의 수산물 메뉴 증가도 예상할 수 있다.

정부의 공식적인 요청에 업체들은 고심에 빠졌다.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무작정 수산물을 활용한 메뉴의 비중을 늘릴 수는 없어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바다 지키기 검증 TF’ 위원장인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실과 해양수산부는 30일 단체급식 업체들을 불러 기업급식에 수산물 활용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행사에는 수협중앙회를 비롯해 삼성웰스토리와 아워홈, 현대그린푸드(453340), CJ프레시웨이(051500), 풀무원푸드머스 등 단체급식 업체들이 포함됐다. 해수부는 해당 기업 대표급 인사의 참석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의 움직임에 기업들은 난감한 상황이다. 수산물을 활용한 메뉴를 늘렸다가 소비자들의 반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책임을 기업들에 전가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결국엔 기업들이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 7월 라면값 인하 당시에도 정부의 요청이 관철됐다.

이번 논의에 참여하는 기업 중 삼성웰스토리와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는 국내 단체급식 시장에서 점유율 도합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이 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이면 대부분 회사 구내식당 메뉴에 수산물 비중이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수산물 소비 진작에 나섰다가 되려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따른 수산물 소비 침체는 예견돼 왔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진 2011년과 일본 정부가 원전 오염수 유출을 시인한 2013년에도 국내 수산물 소비가 급감했다.

정부는 단체급식 업체들을 압박하는 것 외에도 여러 방안을 내놓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어민 지원을 위해 2000억원 규모의 추가 예산을 마련하고 어민 유류비 지원 등도 검토에 나섰다. 앞서 중소벤처기업부와 해수부는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노량진수산시장 1층 소매 구역과 2층 식당가를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하고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수산물 소비 촉진에 나서는 한편 방사능 측정기를 도입하는 등 안전성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정부도 수산물 소비 위축 우려가 커지자 여러 방안을 내놓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어민 지원을 위해 2000억원 규모의 추가 예산을 마련하고 어민 유류비 지원 등도 검토하기로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