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중립 근간 흔들려”…‘경찰국 반대’ 류삼영 총경 사직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31일 10시 40분


코멘트
류삼영 총경이 31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민원실에 사직서를 제출하고 있다.ⓒ 뉴스1
류삼영 총경이 31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민원실에 사직서를 제출하고 있다.ⓒ 뉴스1
지난해 7월 경찰국 신설에 반대하는 전국총경회의를 주도하다 3개월 정직에 사실상 경정급 보직으로 좌천된 류삼영 총경이 결국 옷을 벗었다.

류 총경은 31일 오전 서울 중구 경찰기념공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5년간 경찰조직의 일원으로 사명감을 갖고 주어진 임무에 최선을 다했지만 최근 경찰 중립의 근간이 흔들리는 것을 더 이상 지켜보기 어려웠다”며 사직을 발표했다.

류 총경은 “헌법과 법률에 위배되는 시행령으로 행정안전부에 경찰국을 신설하는 등 지난 시간 힘들게 쌓아온 경찰 민주화가 나날이 무력화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뜻있는 경찰서장들이 의견 수렴을 위해 모였다는 이유로 경정급 보직으로 좌천되는 등 사실상 강등에 가까운 보복인사를 겪어야만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반기 총경 인사에서도 보복성 인사가 계속되는 상황을 보며 ‘경찰 블랙리스트’를 조직적으로 관리하며 경찰청장이 갖고 있는 총경 인사권에 부당하게 개입하고 있다는 합리적인 의심을 갖게 됐다”고 지적했다.

류 총경은 “보복인사는 저 개인의 불명예나 불이익에 그치지 않고 경찰 조직 전체를 정권에 충실하게 만드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이번 총경인사에 부당한 개입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다면 반드시 법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경찰청장을 향해 “조직 전체를 뒤흔드는 보복인사를 멈추고 부당한 외압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하는 청장 본연의 임무를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류 총경은 최근 발생한 오송읍 지하차도 참사와 관련해서도 “(이번 참사는) 국가 재난 대응 시스템의 총체적 부실 때문에 발생했다”며 “모든 사고 책임을 일선 경찰에만 전가하는 이른바 ‘꼬리 자르기’식 대처는 현직 경찰의 사기를 꺾고 그들의 사명감을 깎아내리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류 총경은 사직 이후 계획과 관련해 “정계에 진출할 생각은 없다”며 “깜냥이 안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책이나 유튜브 등 여러 방법으로 지금까지 경험한 이야기와 경찰 이야기를 국민에게 전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