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장수서 올해 3번째 큰 지진…“2년 전과 똑같은 위치”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7월 29일 19시 09분


코멘트
7월 29일 19시 7분,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에서 규모 3.5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 제공
7월 29일 19시 7분,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에서 규모 3.5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 제공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규모 3.5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은 29일 긴급 재난 문자를 통해 “7월 29일 19시 7분,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에서 규모 3.5 지진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기상청이 밝힌 진앙은 북위 35.81도 동경 127.53도, 발생 깊이는 6km로 파악됐다. 이는 2년 전 규모 2.7의 지진이 발생한 진앙지와 일치하며 올해 들어 역대 세 번째 규모 지진으로 기록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2021년 2월 6일 오전 4시 40분 3초경 전북 장수군 북쪽 지역에서 진원의 깊이가 5km인 지진이 발생했으며 당시 진앙도 북위 35.81도, 동경 127.53도였다. 지진이 같은 지역에서 규모를 키워 2년여 만에 재발한 것이다.

이번 지진은 올해 한반도와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 3번째로 큰 규모로 조사됐다. 올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3.0 이상 지진은 10건이다. 규모 4.0 이상 지진은 지난 5월 15일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에 해당한다. 나머지 9건은 규모 3.0 이상 4.0 미만이었다. 규모 2.0 이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올해 총 59건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번 지진은 자연적으로 발생한 단순 지진에 해당한다”며 “같은 지역에서 지진이 재발한 원인을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소방청에 따르면 오후 8시 30분 기준으로 지진 관련 유감신고는 총 52건으로 집계됐다. 지진이 발생한 전북이 43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4건, 경남 2건, 부산·전남·충북 각 1건이었다. 이 중 6건은 지진에 대한 단순 문의였다.

7월 29일 19시 7분,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에서 규모 3.5 지진이 발생했다. 뉴시스
7월 29일 19시 7분,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에서 규모 3.5 지진이 발생했다. 뉴시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진이 발생하자 지진에 대해 피해 상황과 산사태 가능성을 점검하라고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긴급 지시했다. 또 지진 피해 상황, 산림청에는 지진에 따른 산사태 가능성 점검과 대비도 지시했다.

한 총리는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에도 원전·전기·통신·교통 등 국가 기간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점검하고 비상조치에 만전을 다하라고 요청했다.

한 총리는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해 추가적인 지진 발생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하라”고 당부했다.

이에 이 장관은 지진 규모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 가동 기준(규모 4.0~4.9·최대진도 V 등급)을 충족하자 신속한 피해 상황 파악과 긴급조치를 위해 오후 7시 10분경 중대본 비상 1단계를 가동하고 지진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

이 장관 겸 중대본부장은 “관계부처와 지자체는 긴밀히 협조하고 비상대응체제를 유지하며 피해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것”을 지시했다.

최재호 동아닷컴 기자 cjh122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