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끝나자마자 ‘대프리가’ 폭염…“불볕더위, 자연재해 수준이네요”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28일 15시 21분


코멘트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 대구에 ‘역대급’이라고 예보된 폭염이 28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이날 대구 달서구 이월드를 찾은 어린이들이 아쿠아빌리지에서 무더위를 피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2023.7.28. 뉴스1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 대구에 ‘역대급’이라고 예보된 폭염이 28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이날 대구 달서구 이월드를 찾은 어린이들이 아쿠아빌리지에서 무더위를 피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2023.7.28. 뉴스1
“대구와 경북에 그렇게 고통을 준 장마 끝나니까 바로 불볕더위네요. 1주일 정도 이 무더위가 지속된다고 하니 걱정입니다. 이제는 폭염이 사람을 잡을 것 같습니다.”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의 역대급 폭염이 시작됐다.

낮 최고기온이 34도를 오르내린 28일 오후 시민들은 타들어갈 듯한 무더위에 혀를 내둘렀다. 이날 오후 체감온도는 35도를 웃돌았다.

동구 주민 권민정씨(63)는 “대구에 자연재해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말은 다 거짓”이라며 “이런 불볕더위가 바로 자연재해”라고 했다.

권씨는 행정안전부로부터 발송된 안전 안내문자를 보며 경북 안동에 있는 구순의 친정 어머니를 걱정했다.

대구와 경북 전역에는 폭염경보가 발효 중이다.

대구와 경북 일부 지역에 올여름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17일 대구 중구 동성로관광안내소 앞 바닥분수를 지나는 시민들이 양산을 펼쳐 뙤약볕을 피하고 있다. 2023.6.17. 뉴스1
대구와 경북 일부 지역에 올여름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17일 대구 중구 동성로관광안내소 앞 바닥분수를 지나는 시민들이 양산을 펼쳐 뙤약볕을 피하고 있다. 2023.6.17. 뉴스1
정부는 “대구 등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인 곳이 다수 있겠다”며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충분한 물 마시기와 휴식을 취할 것”을 당부했다.

소방당국은 체감온도가 35도 안팎으로 높아지는 곳이 많아 온열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대구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올 여름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가 파악한 대구지역 온열질환자(온열질환이 추정돼 이송한 환자 포함)는 17명이며, 다행히 사망자는 없다.

폭염 집계가 시작된 5월20일부터 6월26일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757명이다.

온열질환자는 두통, 어지러움, 근육 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방치되면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특히 체온이 40도 이상 오르는 경우 의식이 없어지는 열사병으로 이어지며, 열사병은 다발성 장기손상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치사율이 매우 높다.

대구기상청 관계자는 “오후 3시를 전후해 가장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 활동, 농삿일, 운동 등을 자제하고, 고령층과 만성질환자는 뜨거운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피해야 한다”며 “34도 안팎의 무더위가 1주일 정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건강관리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고 말했다.

소방당국은 “폭염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체온이 많이 오르고 의식이 없는 열사병이 의심되면 신속히 119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소방당국은 오는 9월까지 ‘119폭염구급대’를 운영한다.

지난해 최고기온 33도 이상인 전국 폭염 평균 일수는 10.6일, 대구는 45일이나 됐다. 최고기온도 37.8도로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았다.

지난해의 경우 여름철 대구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 46명 중 열탈진이 30명으로 가장 많았고,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42명이었다.

(대구=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