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여름 독감 유행 ‘이례적’…3주째 의심환자 증가세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21일 11시 20분


코멘트
뉴스1DB ⓒ News1
뉴스1DB ⓒ News1
여름철이 되면 독감(인플루엔자) 같은 호흡기 감염병 유행이 잦아드는데 올해는 의심 환자 수가 3주 연속 증가하는 등 이례적인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21일 질병관리청이 공개한 2022~2023 절기 28주차(7월 9일~15일) 감염병 표본감시 결과 인플루엔자 의사(의심)환자분율은 외래 1000명당 16.9명으로 직전주(16.3명)보다 증가했다.

이번 절기(2022~2023년) 유행 기준 4.9명보다 3배 이상 높다. 질병청은 “이례적인 여름철 유행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사환자분율은 지난해 53주(12월 25일~31일) 60.7명까지 치솟았다가 하락세로 돌아서 올해 8주차(2월 19일~25일)에 11.6명으로 저점을 찍었다.

올 들어 20~21주차 분율이 25.7명까지 오른 뒤 하락세로 돌아서 25주차 때 15.0명까지 떨어졌지만, 26주차 16.1명, 27주차 16.3명, 28주타 16.9명으로 3주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로 보면 7~12세의 학령층이 43명으로 전주의 42.7명보다 0.3명 증가했다. 이들 연령대가 전체 독감 유행을 주도하는 양상이다. 전체 분율에 2.6배 가량 많다.

이어 △13~18세 25.2명 △1~6세 18.5명 △19~49세 14.8명 △0세 9.3명 △50~64세 7.7명 △65세 이상 4.8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질병청은 전국 196개 의료기관에서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38도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면 의사 환자로 분류한다.

28주차 호흡기 검체(333건) 중 독감 바이러스 검출 사례는 21건(6.3%)으로, 2022~2023절기 누적 건수는 1220건이다. 입원환자는 135명으로 전주(161명) 대비 줄었다.

콧물, 두통, 가래, 인후통 등 증상을 보이는 급성 호흡기감염증도 여전히 유행하고 있다. 27주차 급성 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는 총 1517명으로 27주차(1535명)보다는 미세하게 줄었다.

모기를 매개로 한 말라리아 환자도 늘고 있다. 질병청의 ‘말라리아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올해 28주차 말라리아 환자는 34명 늘어 총 376명이다. 전년(156명) 대비 2.3배 수준이다. 전체 376명 중 국내발생 사례는 334명(88.8%)이다. 해외유입 사례는 11.2%로 주로 아프리카 대륙 입국자들이다.

국내발생 환자 334명 중 274명(82%)은 남성이며, 평균 연령은 38.6세로 나타났다. 20대가 114명으로 가장 많고 30대와 40대가 각 51명(15.3%), 50대가 49명(14.7%), 60대가 39명(11.7%)이다.

민간인이 258명(77.2%)으로 가장 많고 현역 또는 제대군인이 76명(22.8%)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09명(62.6%)으로 가장 많고 인천 48명(14.4%), 서울 42명(12.6%), 강원 14명(4.2%) 순이다.

이밖에 28주차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은 외래 1000명당 15.4명으로 27주차(17명) 보다 감소했다. 질병청은 “22주(18.5명) 정점 이후 감소추세”라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