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청, 오송 지하차도 참사 관련 책임론에 “사실과 다르다”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17일 11시 54분


코멘트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6일 오후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 현장을 방문해 수색작업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있다.(국토교통부 제공) 2023.7.16/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6일 오후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 현장을 방문해 수색작업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있다.(국토교통부 제공) 2023.7.16/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청주 오송 지하차도 침수 참사’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일부 지적을 공식 반박했다.

행복청 관계자는 17일 뉴스1과 통화에서 “(참사 원인 제공의 하나로 지목된) 임시제방은 100년 빈도 홍수위보다 높게 설계됐다”며 “그런데 이번에 홍수위를 넘는 많은 비가 내렸다. 설계 잘못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고 구간은)미호천과 병천천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좁아지는 부분으로 환경부의 하천정비계획에 따라 하천확장 계획이 세워져 있다”며 “이 계획에 따라 (하천)폭이 늘어나게 돼 기존 제방은 없어진다. 그걸 고려해서 다리와 도로가 설계돼 공사기간 중 임시제방이 필요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송 주민들은 이번 참사의 원인 중 하나로 미호천교 공사 현장의 제방 유실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공사를 하면서 기존 제방을 허물고, 임시제방도 허술하게 관리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행복청 관계자는 “해당 공사는 로를 놓고, 미호천교를 신설하는 사업인데, 교각을 설치하려면 기존 제방이 없어야 해 임시제방을 쌓은 것”이라고 반박했다.

사고 당시 마을 이장의 “오전 7시40~50분쯤 현장에 가보니 인부 3~4명이 미호강 범람에 대비해 모래성을 쌓고 있었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행복청 관계자는 “(사고) 당일 새벽 4시10분 홍수경보가 발령돼 방수포를 덮고 예방공사를 했는데 이 당시 모습을 이장님이 보신 것 같다”며 “그날 임시제방을 만든 것이 아니라 지난 7일 완성했다. 그날은 홍수경보에 따라 비상대응을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6일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소방당국이 실종자 수색, 구조작업을 하고 있다. 2023.7.16/뉴스1
지난 16일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서 소방당국이 실종자 수색, 구조작업을 하고 있다. 2023.7.16/뉴스1
관리 허술 지적에 대해서도 “당일 직원 14명이 현장 근무했다. 행복청 직원들은 당연히 비상근무 상태였다. 그날 오전 4시10분 홍수경보 발령과 함께 대응할 수 있었던 건 비상근무 중 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했다.

청주 지역에 회자되는 “무슨 다리(1.2㎞) 하나 놓는데 5~6년이나 걸리냐”는 비판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행복청 관계자는 “애초 공기는 2018년 2월부터 2022년 1월까지였는데 2021년 3월 계획이 바뀌었다”며 “당시 기존 다리를 재활용 확대하도록 설계했는데, 정밀안전진단 결과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와 공기가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장마 예보가 나오자 행복청이 1주일 전쯤 이곳에 임시제방을 만들었는데 임시제방이 주변 제방보다 턱없이 낮아 폭우로 늘어난 유량을 감당하지 못해 무너진 것”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날 오전 10시 현재 오송 지하차도 참사 누적 사망자는 13명이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