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레까지 충청·전북·경북에 300㎜ 이상 쏟아진다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16일 11시 18분


코멘트
16~19일 강수구역 예상도(기상청 제공) ⓒ 뉴스1
16~19일 강수구역 예상도(기상청 제공) ⓒ 뉴스1
16~18일 강수 집중구역 모식도(기상청 제공) ⓒ 뉴스1
16~18일 강수 집중구역 모식도(기상청 제공) ⓒ 뉴스1
화요일인 18일까지 충청과 전북, 경북 등에 최대 300㎜ 이상의 장맛비가 내리겠다. 장마철 500~1000㎜의 많은 비가 내려 지반 등이 약해진 상태에서 시간당 최고 80㎜의 강한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돼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기상청은 16일 충청권과 전북, 경상권, 제주 산지에 100~250㎜의 비가 더 내리겠고, 이중 충청권과 전북, 경북 북부 내륙 일부 지역에는 300㎜ 이상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고 발표했다.

장맛비는 16일까지 강하게 내린 뒤 17일 밤부터 18일 오전 사이 다시 강하게 퍼붓겠다.

17일 밤에는 많은 비를 뿌리고 있는 정체전선으로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다량의 수증기가 공급되면서 비구름을 강화한다. 여기에 대기 상층에서는 제트기류에 발산장이 만들어져 연직 운동이 강해지면서 강수대를 발달시켜 많은 비가 추가로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전남과 경남권에선 16일 오후에, 전북에서는 16일 오후부터 17일 새벽에 시간당 30~60㎜씩 강하게 내리겠다.

충청과 전북, 경북에는 화요일인 18일 새벽부터 낮까지 다시 시간당 30~60㎜의 강하고 많은 비가 퍼붓겠다. 이 때 일부 지역에서는 시간당 80㎜의 매우 강한 비가 쏟아질 수 있다.

16일 낮부터 18일까지 경기 남부와 강원 남부 내륙·산지, 제주(산지 제외), 울릉도·독도에는 같은 기간 30~120㎜, 서울과 인천, 경기 북부, 강원(남부 내륙·산지 제외), 서해5도에는 20~60㎜가 내리겠다.

강하고 많은 비가 예보된 지역에는 벌써 누적 강수량이 600~1000㎜에 달한다. 지난 6월25일 장마철이 시작된 이래 청양에는 15일까지 913.5㎜의 비가 내렸다. 영주 904.5㎜, 보은 862.0㎜, 구례 820.5㎜, 장수 819.5㎜, 원주 722.0㎜, 함양 658.5㎜ 등이다.

서울에는 523.0㎜(동대문), 제주에는 산지에 1313.0㎜(삼각봉)가 쏟아졌다.

기상청은 중부와 남부에 각각 424.1㎜, 422.9㎜가 내렸다며 평년(중부 378.3㎜, 남부 341.1㎜) 대비 강수량이 각각 10%, 20% 가량 웃돌았다고 밝혔다.

심각한 것은 비가 내리는 기간은 짧았고, 강수량이 늘었다는 것이다. 시간당 30㎜ 이상의 ‘매우 강한 비’, 즉 집중호우가 증가한 셈이다.

박정민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최근 10년 사이 중부 지방 강수량이 가장 많았던 2020년(856.1㎜)이나 2위를 기록한 2013년(546.8㎜)은 비가 내린 기간이 각각 54일과 49일로 길었다. 이번 장마기간은 아직 20일 밖에 되지 않았는데 10년새 4번째로 많은 비가 기록된 것은 집중호우가 늘어난 셈”이라고 말했다.

기상청은 최근 강하고 많은 비로 지반이 약화한 데다 하천과 계곡, 강의 수위가 높아진 상태로 비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배수로 역류와 산사태, 토사 유출에 따른 옹벽 붕괴 등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장맛비는 다음 주 수요일인 26일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중기예보에 따르면 정체전선은 수요일인 19일 저녁 일본 쪽까지 내려가겠고, 22~23일쯤 다시 북상해 전국에 비를 뿌릴 전망이다. 20일 오후부터 21일까지는 제주에만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