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사교육 대책에 전문가들 “초등 입학 전 선행학습 필수라는 인식 심어줘”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6일 17시 52분


코멘트
6일 서울 용산구 사교육걱정없는세상 회의실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이 정부 영유아 사교육 대책의 문제점을 논의하고 있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

영유아 사교육 수요를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 공교육에서 흡수하겠다는 정부의 사교육 대책이 부모들에게 ‘초등학교 입학 전 선행학습은 필수’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영유아의 발달 과정에 적합하지 않은 방과 후 특성화 프로그램이 유치원 등에 우후죽순 생길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교육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은 6일 서울 용산구 사걱세 대회의실에서 ‘영유아 사교육비 경감 대책 마련을 위한 긴급 토론회’를 개최했다. 지난달 26일 교육부가 발표한 사교육 대책이 영유아 교육 현장에 미칠 영향을 논의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자리였다.

참석자들은 이번 대책의 초점이 유아의 전인적 성장 발달이 아닌 ‘부모의 수요’에 맞춰져 있다고 지적했다. 유아 발달 과정에 맞춰 누리과정(3~5세 공통 교육과정)을 내실화하는 게 중요한데 오히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양한 사교육 프로그램을 끌어들여 ‘놀이 중심’의 유아 교육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취지다.

교육부 영유아 사교육 대책의 핵심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영어와 예체능 등 학부모가 원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현장 교사들은 이로 인해 장시간 기관에 머무는 아이들의 스트레스가 커지고 정서 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지현 인천 능내초 병설유치원 교사는 “아침부터 오후까지 기관에 머물러야 하는 유아들에겐 친구들과 자유롭게 놀이하고 관계 맺는 게 중요하다”며 “방과 후 과정이 각종 특성화 프로그램 중심으로 흐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초 연계 이음학기’가 초등 선행과정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이음학기는 취학 전 6개월 동안 초1 교실 견학, 초등생과의 만남 등을 통해 초등학교 생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과정이다. 정부는 사교육 대책을 발표하며 이음학기를 내년까지 1000곳으로 확대해 놀이 중심 언어교육, 초1 통합교과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장지현 사걱세 공동대표는 “정부가 부모들에게 ‘미리 준비시키지 않아도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충실한 수업이 이뤄지니 걱정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줘야 하는데 오히려 ‘이제 유치원에서부터 선행학습을 해야 한다’고 공식화한 셈”이라며 “영유아 부모들의 불안감을 더 키우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육 프로그램이 학부모 수요만 쫓아 ‘사교육화’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6세 자녀를 키우는 최현주 씨는 “학부모 수요를 이유로 방과 후에 조기 인지교육 프로그램을 내세우는 기관이 더 많아질 것”이라며 “정부 대책이 ‘사교육 불안 해소’에 초점을 맞맞추지 않고 ‘사교육 수요 흡수’만 강조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참석자들은 정부의 대책이 영유아의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백소영 경기 이천시 육아종합지원센터장은 “부모들에게는 한글이나 영어 교육을 반드시 선행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돼 더 많은 아이를 사교육 시장으로 내모는 풍선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임미령 사걱세 영유아사교육포럼 대표는 “정부 대책이 오락가락하면 정책에 대한 불신이 커져 사교육 시장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며 “영유아 기관에서 놀이 중심, 아이 중심 교육과정이 뿌리내리도록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