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 참배’ 日 기시다에 시민들 갑론을박

  • 뉴시스
  • 입력 2023년 5월 22일 11시 31분


코멘트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한일 정상 최초로 히로시마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에 참배한 것을 놓고 22일 시민들은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원폭 피해자들을 양국 정상이 최초로 추모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진전이라는 평가도 있었지만, ‘사과 없는 참배는 가식’이란 비판도 나왔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관국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한 윤 대통령은 전날인 21일 기시다 총리와 함께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내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찾아 참배했다.

기시다 총리는 참배 후 “한일 양국의 평화와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아주 중요한 일이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인 원폭 피해자에게 추모의 뜻을 전하고 평화로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총리의 용기 있는 행동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공동참배는 지난 7일 서울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총리가 제안하면서 이뤄지게 됐다. 윤 대통령의 위령비 참배는 역대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이며, 한일 정상의 공동참배도 역대 처음이다. 일본 총리는 지난 1999년 오부치 게이조 당시 총리가 참배한 바 있다.

앞서 1945년 8월6일 미군이 원자폭탄 ‘리틀보이’를 투하하며 히로시마에 있던 한국인 약 5만명이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원폭피해자협회는 히로시마 원폭으로 인한 한국인 사망자를 3만명으로 추산했으며, 위령비엔 사망자가 2만명으로 기록돼 있다. 이 위령비는 1970년 재일한인모금을 통해 건립됐다. 당시 일본 당국의 반대로 평화공원 밖에 세워졌다가 1999년 7월에서야 공원 안으로 옮겨졌다.

두 정상의 위령비 참배 이후, 평화공원 내 위령비 방문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는 반응이 나왔다.

서울 광진구에 거주하는 김모씨(28)는 “이것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됐다고 생각하진 않는다”면서도 “이제라도 일본 총리가 원폭 희생자 위령비 참배를 했다는 것 자체가 의미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 서대문구에 거주하는 김모(56)씨는 “앞으로 일본이 어떻게 나올지 봐야 한다”면서도 “지금까지는 윤석열 대통령이 먼저 손 내밀고 일본이 한국에 오기도 하고 위령비도 참배하면서 호응하는 것 같다”고 했다.

서울 강서구에 거주하는 서모(32)씨도 “일본 제품 불매하고 싸우는 것보다 서로 존중하며 응어리를 푸는 지금 모습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기시다 총리가 한국인 원폭 피해자에 포함된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등 과거사는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은 아쉽다는 평가도 공존했다.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가 없는데 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한 책임있는 자세라고 평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서울 영등포구에 거주하는 오모씨(30)도 “위령비에 참배하러 가서 사과 한마디 없는 것이 더 실망스러웠다”며 “과거에 대한 사과가 있어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건데, 그런 게 없이 세계 평화를 논하니 ‘보여주기식 쇼’라는 생각만 든다”고 했다.

서울 영등포구에 거주하는 장모씨(29)는 “그래봤자 결국 강제동원 및 위안부 피해자 문제 등은 전혀 진척이 없다. 가식적인 행동”이라며 “결국 참배 이후에도 사과는 없었다. 지금 필요한 건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와 보상인데, 그게 아니라면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