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이용 장애인 4명 중 3명 “교통사고 날 뻔한 경험”

  • 뉴스1
  • 입력 2023년 4월 20일 10시 33분


코멘트
전동휠체어·휠체어 이용 중 차도 이용 경험 설문.(도로교통공단 제공) 2023.4.20/뉴스1
전동휠체어·휠체어 이용 중 차도 이용 경험 설문.(도로교통공단 제공) 2023.4.20/뉴스1
전동휠체어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4명 중 3명이 교통사고 위험 상황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도로교통공단이 최근 전동휠체어 및 휠체어 이용 장애인 4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3.8%(315명)이 최근 5년간 실질적인 교통사고 위험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유경험자 중 위험에 노출되는 빈도를 묻는 질문에는 69.2%(218명)이 월 1회 이상 위험상황을 겪는다고 답했고, 주 1회 이상 빈번하게 겪는다는 응답자는 10.2%(32명)에 달했다.

위험 상황을 겪은 장소별(중복답변 가능)로는 차도와 횡단보도가 22.5%(130명), 21.8%(126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보도(17,3%?100명), 아파트 단지내(13.8%?80명), 이면도로(9.9%?57명) 등이 뒤를 이었다.

휠체어 등(보행보조용 의자차)은 수동식?전동식 휠체어, 전동식 스쿠터, 특수 휠체어 등을 말한다. 이는 도로교통법상 자동차가 아닌 ‘보행자’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도(인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에서는 보도로 통행해야 하지만 ‘불가피하게 차도를 이용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 76.3%(326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그 배경으로는 ‘장애물, 경사로, 불법 주정차 차량, 공사 구조물, 간판 등으로 인한 보도 이용 제한’이라는 응답이 61.2%(234명)으로 가장 많았다. ‘보도 이용시 대중들의 불편한 시선 때문에’라는 응답도 24.6%(94명)로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휠체어 등은 돌발 상황에 즉각 반응하기 힘들고, 이동할 수 있는 동선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교통사고에 더욱 취약하다”며 “휠체어 등의 보도 이용과 관련해 모든 사회구성원의 인식 및 환경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원=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