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시내버스 내일 정상운행…파업 먼저 풀고 임단협 추후 교섭키로

  • 뉴스1
  • 입력 2023년 4월 19일 20시 09분


코멘트
경남 창원지역 시내버스가 파업에 들어간 19일 오전 창원시 성산구 신월동 은아아파트 앞 정류소에서 시민들이 창원시 비상수송 대책으로 마련한 임시버스에 올라타고 있다. 2023.4.19/뉴스1
경남 창원지역 시내버스가 파업에 들어간 19일 오전 창원시 성산구 신월동 은아아파트 앞 정류소에서 시민들이 창원시 비상수송 대책으로 마련한 임시버스에 올라타고 있다. 2023.4.19/뉴스1
경남 창원지역 시내버스 노조가 19일 돌입했던 파업을 하루 만에 철회하고 20일 오전 5시 첫차부터 시내버스를 정상운행하기로 했다.

창원시에 따르면 창원 시내버스 9개 회사 노사는 이날 조명래 창원시 제2부시장의 주재하에 오후 4시30분부터 약 3시간 동안 교섭을 벌여 파업을 우선 철회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이날 교섭에서 임금과 단체협상에 대해 결정된 합의사항은 없었으나 노사는 시내버스 미운행으로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에 공감해 우선 파업을 철회하고 임단협에 대해서는 추후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조명래 제2부시장은 “그간 노사간 갈등의 골이 깊어 교섭기간 진정성 있는 대화가 진행되지 않았지만 오늘 서로 마음을 터놓고 얘기하면서 입장 차이를 상당 부분 해소했다”며 “비록 세부적인 합의점을 찾지는 못했지만 시민을 생각하는 마음에서 버스운행을 재개하는 것으로 결정했고, 남은 기간 노사가 진정성 있는 대화로 교섭을 마무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창원 시내버스 노조는 임금과 단체협상에서 사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이날 오전 첫차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전날 오후 3시부터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마지막 조정회의가 열렸지만 14시간의 논의 끝에도 협상이 결렬되면서 지노위에서 쟁의조정 중지를 선언했다.

노조는 당초 협상에서 올해 임금 9% 인상을 요구했다가 지난 17일 임금 인상률을 7.4%로 낮춰 제시했다. 이와 함께 정년 62세에서 65세까지 연장, 하계휴가비 인상, 휴식시간 보장, 대학생 학자금 지원을 요구했다.

사측에서는 지난해 임금을 7.5% 인상했고, 올해 창원보다 버스 이용객이 많은 서울·부산·대구에서도 3.5% 인상으로 합의해 노조의 요구는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맞섰다.

마지막 조정회의에서는 지노위가 임금 3.5% 인상, 하계휴가비 10만원 인상, 정년 62세에서 63세로 연장의 내용이 담긴 조정안을 노사에 제시했으나 노조 측은 수용한 반면 사측에서는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협상은 결렬됐다.

협상 결렬로 노조는 예고대로 이날 첫차부터 파업을 시작했다. 창원 시내버스 95%인 9개 업체 689대의 버스가 멈춰섰다.

창원시에서는 비상수송 대책으로 이날 오전 6시부터 전세버스 142대, 공용버스 10대를 투입하고 임차택시 800대를 출퇴근 시간에 두차례 운영했지만, 평상시 대비 34% 수준의 임시 교통수단은 시민들의 불편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임시로 투입된 전세버스가 운행시간표대로 운행이 되지 않아 오랫동안 기다리거나 공단로로 운영되는 버스가 없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는 민원이 시에 접수되기도 했다.

창원 시내버스 노사는 향후 노사간 자율교섭으로 임금과 단체협상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창원=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