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주니어를 위한 칼럼 따라잡기]1g, 0.5g짜리 선물 금반지 유행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4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일러스트레이션 임성훈
일러스트레이션 임성훈
전국 금은방에서 1g짜리 순금 돌반지를 팔기 시작한 건 2011년 6월부터다. 찾는 손님이 많아서라기보다 정부와 귀금속 업계의 필요가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정부는 일제 잔재인 ‘돈’ 대신 국제 표준인 ‘그램(g)’을 정착시키고자 했고, 업계는 치솟는 금값 때문에 손님이 뚝 끊긴 돌반지 시장을 살리고 싶었다. 그해 동일본 대지진, 유럽 재정위기,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같은 온갖 악재가 겹치면서 국제 금값은 역사적 고점을 찍었다. 국내에서도 순금 한 돈(3.75g)이 25만 원을 뚫었다.

정부가 당시 소비자물가지수 대상에서 금반지를 제외하자 물가 상승률이 0.2%포인트나 낮아질 정도였다. 물가를 ‘마사지’하기 위한 꼼수라는 비판이 쏟아졌지만 결국 금반지는 물가 산정 품목에서 빠졌다. 그렇게 1g 반지 제작용 금형이 전국에 보급됐고, 겉모습은 한 돈짜리와 똑같지만 두께는 얇은 6만 원대 돌반지가 등장했다. 그래도 1g 반지는 낯간지럽다며 현금 봉투를 준비하는 사람이 많았다.

정부와 업계의 노력에도 시큰둥했던 1g짜리 돌반지의 인기가 요즘 뜨겁다. 10만 원이 든 현금 봉투보다 1g 금반지가 훨씬 더 비싸졌기 때문이다. 10만 원 봉투는 부담되고 5만 원은 약소하다며 0.5g짜리 돌반지를 선물하는 젊은층도 많아졌다. 2011년의 고점 이후 오랜 세월 암흑기를 거쳤던 금값이 다시 ㉠천정부지로 뛰면서 나타난 변화다.

팬데믹 위기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거쳐 최근 미국, 유럽발(發) 은행 위기까지 불거지면서 금 가격은 사상 최고가를 새로 쓰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지정학적, 경제적 불안이 일상화되자 그야말로 신(新)골드러시가 펼쳐진 모습이다. 세계 중앙은행들도 공격적으로 금 사재기에 나서고 있다.

요즘 서울 종로3가 귀금속 거리에는 금을 사는 손님보다 파는 사람이 더 많고, 중고거래 플랫폼에는 하루 10건 안팎의 돌반지 판매 글이 올라온다. 한 돈 금반지를 팔면 당장 30만 원 정도를 손에 쥘 수 있으니 고물가, 고금리로 한 푼이 아쉬운 서민들에겐 적지 않은 돈이다. 불황이 불러온 역(逆)골드러시라 할 만하다. 치솟는 금값을 보는 마음이 마냥 편치만은 않은 이유다.

동아일보 3월 31일 자 정임수 논설위원 칼럼 정리

칼럼을 읽고 다음 문제를 풀어 보세요.
1. 다음 중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① 온갖 악재가 겹친 2011년은 금값이 기록적으로 치솟았던 시기이다.

② 세계의 중앙은행들은 계속되는 경기 침체에 금을 도외시하고 있다.

③ 미국과 유럽의 은행 위기는 최근 금 가격 상승의 이유 중 하나이다.

2. 윗글의 ㉠천정부지는 ‘천장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한없이 오르기만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다음 중 ㉠과 거리가 먼 상황을 고르세요.

① 전례 없는 대흉년으로 곡식 가격이 뛰고 있다.

② 팔리지 않은 제품이 남아돌아 창고에 가득 쌓여있다.

③ 휴가철 해수욕장의 튜브 대여 비용이 계속 비싸진다.

김재성 동아이지에듀 기자 kimjs6@donga.com
#금반지#돌반지#선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