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20년간 인구 감소… 10명 중 9명이 청년이었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3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열악한 산업 구조에 일자리 부족
해마다 청년 1만명씩 고향 떠나
노인 인구는 빠르게 늘어 대책 시급

2001년부터 2021년까지 20년 동안 전북을 떠난 전체 인구 가운데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이 9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악한 산업 구조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 부족 문제가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전북경제 성장을 크게 떨어뜨릴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전북지역 인구구조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 인구는 2001년 200만6454명에서 2021년 178만6855명으로 줄었다. 20년간 21만9599명이 감소한 것으로 매년 1만여 명씩 고향을 떠난 셈이다. 특히 전북 14개 시군 가운데 전주시, 군산시, 완주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인구가 줄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전북지역 인구구조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북대 황운중·정호진 교수에게 연구용역을 의뢰해 작성됐다.

전입과 전출 등 사회적 요인에 따른 인구 감소는 24만6572명, 출생·사망 등 자연적 요인에 따른 감소는 1만7021명이다. 전북지역 인구 감소의 주요 요인이 지역 이탈인 셈이다.

줄어든 인구 대부분은 20∼34세 청년이었다. 청년 순 유출 규모는 22만6000명으로 전북의 총 순 유출(24만6572명)의 92.1%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열악한 산업 구조와 고용 문제가 원인으로 분석됐는데, 실제 청년(20∼29세) 고용률은 2019년 기준 46%로 전국 평균(58%)보다 크게 낮았다. 전북지역 청년 고용은 2014년 이후 지속해서 줄고 있다.

노인 인구는 빠르게 늘지만 생산가능인구는 줄어드는 것도 전북경제를 어둡게 하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전북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022년 22.4%에서 2050년 46.8%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같은 기간 생산가능인구는 66.7%에서 45.5%로 떨어져 근로자 1인당 노인부양비 가중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같은 인구구조 변화 추세가 지속되면 30년간 도내 6개 모든 시 지역에서 지역내총생산(GRDP)이 하락하고 2030년 이후 10년간 급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진은 “청년의 지역 내 안착을 높이기 위해서는 혁신산업 중심의 우수기업 유치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청년들의 노동 수요가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기업 육성 정책을 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고령 인력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노인 인력 지원 사업 제공과 관련 제도 정비,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동시에 고령화에 따른 농어촌 지역 인력 부족에 대응해 외국인 고용 확대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자치단체가 주도해 지역별 산업 및 인구구조 변화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지역 맞춤형 저출산 대응 정책을 마련하고 관련 예산을 점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영민 기자 minpress@donga.com
#인구구조 변화#지역경제#전북본부#인구감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