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붕괴 참사’ 재개발 비리 조합장 등 2명 구속영장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9월 14일 14시 27분


코멘트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 4구역 ‘철거 건물 버스 덮침 사고‘ 1주기를 하루 앞 둔 8일 오후 참사현장에 수풀이 우거져 있다. 뉴시스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 4구역 ‘철거 건물 버스 덮침 사고‘ 1주기를 하루 앞 둔 8일 오후 참사현장에 수풀이 우거져 있다. 뉴시스
경찰이 광주 동구 학동 4구역 재개발사업 철거건물 붕괴 참사와 관련해 각종 비리를 저지른 혐의로 조합장 등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광주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학동4구역 재개발사업 조합장 조모 씨(75)와 정비사업 관리업체 대표 성모 씨(56)에 대해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고 14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조 씨는 성 씨의 가족이 운영하는 업체에 허위로 용역을 발주해 2억 원 상당의 이득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조 씨는 또 5000만 원 상당의 소나무를 5억 원이나 주고 사들이는 등 무허가 조경업자를 동원해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 학동 3구역 사업을 마친 직후 보류지(잔여 입주세대)를 무상으로 받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보류지는 조합원의 지분 누락 등에 따른 소송에 대비하기 위해 바로 분양하지 않고 여분으로 남겨두는 세대다.

현재 경찰은 조 씨가 조합장으로 재직하면서 각종 공사와 용역에 개입해 관련 업자들과 금품을 받은 것으로 보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특히 성 씨가 학동 백화(百和)마을 내 폐가를 무허가 건물로 설정해 조 씨의 가족 등이 가질 수 있도록 도운 것으로 보고 수사 중이다. 백화마을 내 광주시 소유로 남아있던 폐가 등은 학동4구역 재개발사업 대상지에 편입됐다. 100여 가구의 이재민 정착촌인 백화마을은 백범 김구 선생이 1946년 광주를 방문했을 때 낸 후원금으로 조성됐다.

그러나 조 씨 등은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고 한다. 경찰은 조 씨 등이 광주 동구청에 허위서류를 제출하는 등 증거를 인멸하고 조작한 혐의도 수사 중이다.

지난해 6월 9일 학동 재개발 4구역에서 철거 중인 지하 1층‧지상 5층 건물이 무너지면서 승강장에 정차 중이던 시내버스를 덮쳐 승객 9명이 숨지고 8명이 중상을 당했다, 경찰은 학동 참사와 관련해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 하청‧재하청 업체 관계자와 감리자 등 7명을 입건했고 이들은 1심 재판에서 징역형과 징역‧금고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경찰은 또 조합 비리 수사를 통해 브로커, 조합장 등 총 31명을 입건했다. 조 씨 등 2명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은 15일 오전 11시 광주지법에서 열린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