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 얼굴에 새겨진 ‘삶의 무늬’ 보며 에너지 얻어가세요”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9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강원 원주서 ‘할매발전소 개관전’
시골 노인이 예술 생산 주체로 참여
춤 추는 모습 담은 ‘마고 무도장’ 등
미디어아트-설치미술 20여 점 전시

할매발전소 개관전에 전시되는 작품 ‘마고(麻姑) 무도장’. 할머니들의 춤으로 채워진 무대를 모두가 함께 즐기는 공간으로 표현했다. 로컬리티 제공
할매발전소 개관전에 전시되는 작품 ‘마고(麻姑) 무도장’. 할머니들의 춤으로 채워진 무대를 모두가 함께 즐기는 공간으로 표현했다. 로컬리티 제공
시골 할머니들이 젊은 예술가들과 함께 준비한 전시회가 열려 관심을 끌고 있다. 지역 자원 발굴 및 아카이빙, 콘텐츠 제작사인 로컬리티는 1일부터 강원 원주시 신림면 할매발전소(옛 황둔초교 창평분교)에서 ‘2022 생의 에너지를 전하는 할매발전소 개관전: Mother‘s mother 알아차림 전(田)’을 개최한다.

전시는 개관 특별주간인 14일까지 매일 문을 열고 이후 11월 27일까지는 매주 금·토·일요일에만 관람이 가능하다. 작가 9개 팀의 미디어아트와 설치미술 등 20여 점이 전시된다. 이 전시회는 강원도와 강원문화재단의 ‘유휴 공간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지원사업’으로 진행되며 관람료는 무료다.

이 전시회는 폐교인 유휴 공간을 ‘할매발전소’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시켰고, 시골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노인들이 예술 생산의 주체로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시되는 작품은 모두 마을 노인들을 소재로 하거나 노인들의 스토리텔링 등을 통해 탄생했다.

젊은 작가들은 마지막 구술 세대가 될 할머니들의 붓과 펜이 돼 공공예술의 가치 실현에 나섰다. 7월 이 마을 할머니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춤 워크숍도 작품 속에 녹아 들었다. 이은경 작가의 ‘마고(麻姑) 무도장’은 노인 세대의 콜라텍과 젊은 세대의 사일런트 디스코를 접목한 공간으로 표현됐다.

이 작가는 “할머니들에게 늘 동경의 대상이 됐을 학교를 이제는 온전히 그녀들의 무대로, 환상의 공간으로 표현하려고 했다”며 “공간 속에서 세대 간의 간격은 지워지며 오직 할머니들의 자유로운 춤과 꿈이 해방의 리듬으로 채워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들의 숲’이라고 불리는 신림면(神林面)은 원주에서도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 산골 마을이다. 전기가 없던 시절 할머니들이 기억하는 산은 늘 두렵고 막막한 존재였다고 한다. 화전을 일궈 살아온 할머니들에게 산은 가혹했지만 동시에 모든 것을 내어주는 존재였다. 개관전 제목에 ‘전(田)’이 쓰인 것은 이 때문이다.

춤 워크숍에 참여했던 조계화 할머니(85)는 “신림면에 52년을 살았어도 젊은 사람들과 이런 일을 해 보는 건 처음”이라며 “이렇게 젊은이들이 늙은이들에게 와서 놀려고 하니 너무 즐겁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시를 기획한 김영채 로컬리티 대표는 “신림에서 만난 할머니들은 누구보다 당당하고 강인한 존재였다”며 “많은 분이 전시에 찾아와 할머니들의 삶의 무늬를 들여다보며 그 속에 담긴 아름다운 생의 에너지로 지친 마음에 위안을 얻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인모 기자 imlee@donga.com
#할매발전소 개관전#시골 노인#마고 무도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