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등의 불’ 소각장 확충… 건립 난항에 2026년 가동 가능할까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7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환경부, 수도권 10곳에 건립 촉구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매립지 3-1매립장에서 매립이 이뤄지고 있다. 환경부는 2026년부터 수도권의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최근 인천시 등 수도권 내 10곳의 자치단체장에게 2025년까지 소각장 확충을 촉구하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지만, 인천의 
소각장 확충은 순탄치 않은 모습이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공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매립지 3-1매립장에서 매립이 이뤄지고 있다. 환경부는 2026년부터 수도권의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최근 인천시 등 수도권 내 10곳의 자치단체장에게 2025년까지 소각장 확충을 촉구하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지만, 인천의 소각장 확충은 순탄치 않은 모습이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공
환경부가 이달부터 새로 임기가 시작되는 민선 8기 자치단체장들에게 소각시설 확충을 촉구했다. 2026년부터 수도권에서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는 것에 따른 조치인데, 인천의 소각장 확충도 순탄치만은 않은 상황이다.

환경부는 “1일 서울시와 인천시, 경기 고양시 등 10곳 자치단체장에게 소각장 설치를 촉구하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고 5일 밝혔다. 2026년 1월부터 수도권의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2025년 12월까지 소각장을 서둘러 짓도록 촉구한 것이다. 지금과 같이 종량제 봉투를 그대로 땅속에 묻는 직매립이 금지되면 자치단체는 소각장을 늘리거나 재활용률을 크게 높여야 한다.

환경부가 공문을 보낸 자치단체는 현재 소각장 처리 용량이 50t 이상 부족한 곳이다.

인천시는 10개 구·군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소각장을 둘 예정이다. 중·동구 권역과 서구·강화군 권역에 소각장을 신설하고, 부평구와 계양구는 경기 부천시의 소각장을 공동 활용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연수·미추홀·남동구가 쓸 소각장은 연수구에 있는 기존 소각장을 활용한다.

문제는 환경부의 촉구대로 ‘2025년 말까지 소각장을 지을 수 있느냐’다. 시는 현재 중·동구 권역의 소각장 입지를 정하기 위해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타당성조사 용역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용역 발주가 기존 계획보다 두 달 늦어지면서 용역 기간도 내년 2월까지로 늘어났다. 시는 현재 2026년 초에 중·동구 권역 소각장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입지가 정해진 뒤에도 주민 반발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돼 준공 시기가 더욱 늦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서구의 경우 지난해부터 2차례에 걸쳐 서구·강화군에 들어설 소각장의 입지 후보지를 공모했지만 신청 지역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서구는 공모가 무산되자 이달 중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평·계양구와 경기 부천시의 소각장 공동 활용 협의도 부천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2년 가까이 큰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그 사이 서울·인천·경기의 쓰레기가 모이는 인천 수도권매립지에서는 벌써 올해의 반입 총량을 초과한 자치단체가 속출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 따르면 5월 말 기준으로 서울 강남구와 강서구, 경기 화성시 등 3곳이 벌써 올해의 반입총량을 넘어섰다. 1년의 절반도 지나지 않아 반입총량의 70∼80%를 사용한 자치단체도 나타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현재 계획대로 2026년 초에 신설 소각장을 모두 가동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준공 시기가 늦어지는 것에 대한 대비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승배 기자 ksb@donga.com
#환경부#소각시설 확충 촉구#소각장 건립 난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