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토병 전환 초입?…그 풍토병에 방역 일선은 “죽을 판”

  • 뉴스1
  • 입력 2022년 2월 23일 09시 39분


코멘트
2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뉴스1
2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뉴스1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재택치료 확진자가 대거 쏟아짐에도 치명률은 ‘독감’ 수준이라고 안심시키고 있지만, 방역현장에서는 시스템 과부하에 몸서리치고 있다. 제때 치료받지 못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응급 상황도 속출하고 있다.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서울 재택치료 환자는 9만6708명이며 누적인원은 35만5879명이다. 재택치료 환자는 지난 15일 기준 5만4508명에서 일주일 새 9만6708명으로 77.42% 증가했다.

◇당국 “오미크론은 독감 수준…풍토병처럼 관리 가능”

확진자와 재택치료자가 대거 쏟아짐에도 방역당국은 코로나19를 ‘독감’ 수준이라며 안심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1일 출입기자단 백브리핑에서 “확진자 총수 등에 대해 너무 크게 의미부여할 필요가 없다”며 “최근 확진자·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것이 많이 부각되는데, 당연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어 “델타와 비교해 오미크론은 확실히 중증화와 사망률이 낮으니 과민하게 반응하며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며 “접종완료자의 치명률은 계절독감 이하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박항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역시 전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오미크론 상황에 대해 “위험도를 계속 확인하면서 풍토병적인 관리체계로 전환하기 시작한 초입 단계”라며 “유행을 관리할 수 있다면 오미크론도 다른 감염병과 같은 관리체계로 이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방역 현장선 “확진자 폭증에 손쓸 수 없는 상항”…자택 대기 중 사망까지

하지만 방역 현장에서는 코로나19의 독감화 가능성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긴급 상황이 도사리고 있어 늘 긴장 상태다.

최근 서울 관악구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확진돼 자택 격리 중이던 50대 남성이 숨지는 사건도 있었다.

이 남성은 지난 18일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고, 19일 오전 보건소 역학조사가 시작되기 전 사망한 채 발견됐다. 그는 18일 오전 가족과의 통화에서 “몸이 좋지 않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악구 관계자는 “독감은 방역당국에서 관리하지 않지만 코로나19는 관리 대상에 해당한다”며 “아무리 치명률이 낮고 독감 수준이라고 해도 중점관리군에서는 갑자기 악화될 수 있어 긴장을 늦출 수 없다. 조금이라도 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집중군은 부담되는데, 더욱이 ‘셀프 관리’하는 분들 비율이 높아지니까 걱정된다”고 털어놨다.

새 역학조사 체계로 역학조사 업무가 줄어들었지만, 확진자와 각종 민원의 증가로 행정력은 마비된 상황이다.

서울 A 자치구 관계자는 “일반관리군에 대한 모니터링이 제외되면서 보건소로 각종 문의가 폭주하고 있다”며 “아무리 TF를 구성하고 외부 기간제를 채용해도 확진자가 워낙 많다보니 손을 쓸 수 없다”고 토로했다.

B 자치구 관계자는 “독감처럼 관리한다면 민간병원에서 검사, 진료, 약 처방, 치료가 모두 이뤄져야 하는데, 우리는 통제(관리)와 해제의 과도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며 “현재 행정력은 행정력대로 투입돼 행정시스템은 극에 달한 상태며 보건소 역시 과부하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언제까지 공무원이나 보건소가 코로나19를 전부 담당할 수는 없다”며 “먹는치료제 대상의 폭을 빨리 넓혀 민간의료체계를 구축해야 일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서울시는 확진자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양성자 통보 후 시에서 직접 당일 ‘확진자 긴급 안내 문자’를 발송하기로 했다. 확진 시 의료상담과 진료가 가능한 의원, 대면진료가 가능한 외래진료센터, 응급상황 시 119 연락 등에 대한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