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명 확진땐 코로나 중환자 1724명 제대로 치료 못받아”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2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코로나19-의료붕괴 위기]서울대 오주환 교수 시뮬레이션

11월 15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 박애병원 중환자실에서 의료진들이 코로나19 중증환자를 돌보고 있다. © News1
11월 15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 박애병원 중환자실에서 의료진들이 코로나19 중증환자를 돌보고 있다. © News1
병상 부족에 따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환자 치료 상황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매일 7000명 안팎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면서 중환자 800명대 상황이 이어지고 있지만 병상 확보 속도가 더디기 때문이다.

13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수도권에서 454개 병상 추가 확보를 위한 행정명령을 내렸지만 12일까지 늘린 병상은 200개에 불과하다. 중환자 병상에 대한 오주환 서울대 의대 교수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하루 확진자가 8000명에 이르면 중환자실에 입원하지 못하는 중환자 수가 1124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필요한 중환자 병상 수가 2400개에 달하지만 실제 확보된 중환자 병상은 1276개(12일 기준)에 그친 탓이다. 1100명 넘는 코로나19 중환자들이 일반 병실이나 집에서 치료받게 될 것이란 뜻이다. 이런 ‘입원 실패’ 중환자는 확진자 1만 명일 때 최대 1724명, 2만 명일 때 4724명까지 늘어난다.

현재 800명대로 집계되는 국내 위중증 환자 수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방역당국은 중환자실에서 ‘고유량 산소 치료’ 이상 치료를 받는 환자를 위중증 환자로 집계한다. 중환자실 아래 단계인 중등증 병상에서 비슷한 치료를 받는 환자는 집계에서 빠진다. 요양병원이나 자택에 있는 중환자 역시 마찬가지다.

실제로 중등증 병상을 운영하는 수도권 A병원에는 고유량 산소 치료를 받는 환자가 10명 넘게 입원 중이다. 하지만 정부의 위중증 환자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런 ‘누락 환자’를 포함하면 이미 국내 코로나19 중환자 수가 1000명을 넘었을 것이란 진단이 나온다.

의료계 안팎에선 당장 중환자 병상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병상 회전율’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상태가 호전된 환자를 아래 단계 병상으로 빨리 옮기는 것이다. 하지만 이 역시 차질이 생겼다. 동아일보 취재에 따르면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10일부터 회복기 환자의 병상 이송 업무를 사실상 중단했다. 각 병원에 “알아서 다른 병원으로 전원시키라”고 통지하고 손을 뗀 것. 의료계 관계자는 “중등증 병상을 어느 병원이 얼마나 갖췄는지 리스트도 공유하지 않았다”며 “빈자리가 어디 있는지 파악할 방법도 없는데 정부가 병원이 알아서 하라고 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중수본 관계자는 “회복기 환자의 병실 배정을 다시 중수본이 조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소민 기자 somin@donga.com
이지윤 기자 asap@donga.com



#코로나 중환자#치료 상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