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검체채취·진단 안전·정확성 우려…당국 “콧구멍 긁는 수준 아냐”

  • 뉴시스
  • 입력 2020년 12월 17일 15시 28분


코멘트

"신속항원검사, 비인두도말 PCR보단 민감도 낮아"
"검체채취 부위 민감해 통증 유발, 출혈 가능성도"

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을 위해 스스로 검체를 채취하는 ‘자가 채취’ 행위는 안전과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7일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사용 중인 코로나19 진단검사법 3종에 대해 설명하며 이 같이 밝혔다.

국내 코로나19 진단을 위한 표준검사법은 콧속에서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는 ‘비인두도말 유전자증폭(PCR) 검사’이다. 민감도(98% 이상)와 정확성이 높아 전 세계적에서 통용되고 있다.

다만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검체 채취를 하기엔 어렵다는 게 큰 단점이다.

비인두도말 PCR 검사는 검체 채취 도구를 콧속에 넣은 후 입천장과 평행하게 깊숙이 밀어넣어 하비갑개 중하부에서 분비물을 채취한다. 검체 채취 부위가 매우 민감하고 검체 채취 숙련도가 중요해 반드시 전문가가 실시해야 한다. 일반인이 채취할 때 정확한 검체를 확보하지 못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출혈 등의 사고를 일으킬 수도 있다.

검체 채취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타액 검체 PCR 검사’는 검체 통에 침을 뱉어내는 방식으로 검체를 확보한다. 비인두도말 PCR 검사와 같이 24시간 내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민감도는 92%로 다소 낮다. 신속항원검사법은 검사키트를 이용해 짧게는 30분만에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콧속을 지나 하비갑개 중하부에서 검체를 채취한다는 점에서는 비인두도말 PCR 검사와 동일하지만 민감도가 90%로 낮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비인두도말 PCR 검사와 신속항원검사의 검체 채취 절차는 동일하지만 정확도는 PCR 검사가 가장 높아 표준이 된 것”이라며 “신속항원검사는 민감도가 낮지만 검사가 불가능한 응급실과 격오지 등의 환경이나 급하게 결과를 확인해야 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코로나19) 검체 채취 과정은 소변을 통한 임신검사나 당뇨검사처럼 간단치 않다”며 “콧구멍을 통해 채취하는 것으로 오해되고 있는데, 콧구멍을 지나 입천장과 평평한 각도로 면봉을 깊이 밀어넣고 하비갑개 중하부에서 분비물을 긁고 또 몇 초간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시간을 둬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어 “검체 채취 부위는 매우 민감해 사람에 따라 통증이 따를 수 있으므로 자가 채취와 검사가 어렵다”며 “자가 채취는 검체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출혈 등의 사고를 일으킬 수도 있다. 검사 결과를 판독하는 데에도 일정한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