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전임의들이 밝힌 파업 이유 네가지…“의료비 부담만 늘어”

  • 뉴스1
  • 입력 2020년 8월 26일 14시 20분


코멘트
대한의사협회가 사흘간의 2차 전국의사 총파업에 돌입한 2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앞에서 한 전임의가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뉴스1 © News1
대한의사협회가 사흘간의 2차 전국의사 총파업에 돌입한 2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앞에서 한 전임의가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뉴스1 © News1
서울대 전임의(임상강사)들이 집단휴진에 참여한 네 가지 이유로 Δ의료비 증가 Δ공공의대 설립 Δ첩약(한약) 급여화 Δ의대 정원 확대 Δ비대면 진료를 꼽았다.

서울대 전임의들은 26일 ‘의사 파업 Q&A’란 문건에서 “공공의대는 의사협회와 한 번 논의 없이 진행한 정부의 일방적인 행정적 결과물”이라며 “의대 수련에 필수적인 부속병원이 없으며 신입생 선발 기준과 의무복무 기간도 논란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건복지부 발표한 의대 정원 확대 방안은 매년 400명의 학비를 정부와 지자체가 부담해 졸업 후 10년간 해당 지역에서 근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10년간 약 4000명의 의사 인력이 추가된다. 의사단체는 이 같은 정책으로 인해 의사들의 직업 선택의 자유를 침해하고 의료비 부담이 증가한다는 입장이다.

전임의들은 또 오는 10일 시행할 예정인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에 대해 의료 재정을 낭비하는 조치라고 밝혔다.

전임의들은 “이미 효과를 입증한 면역항암제는 국내에서 급여 확대가 요원한데, 첩약에 국민의 피 같은 의료 재정을 쓰는 것은 환자 치료 기회를 빼앗는 악순환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사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는 주장에는 “우리나라는 의료접근성이 높고 1년에 의사를 14.9번 만난다”며 “이는 미국 4.1번, 스웨덴 2.9번과 비교가 불가할 정도로 많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역 의사가 부족한 것은 전체 의사 수가 아니라 분배의 문제”라고 밝혔다.

전임의들은 “기피 진료과와 지방병원 처우를 개선하지 않은 상태로 무분별하게 의사만 양성하면 (환자) 의료비 부담만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 비대면 진료 활성화 방안에는 “진찰과 검사도 없이 전화로만 증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병 치료가 잘 이뤄질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