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5년 전체 어촌 81.2%인 342개 읍·면·동 소멸 우려

  • 뉴스1
  • 입력 2018년 10월 18일 15시 55분


코멘트

KMI, “어촌 인구소멸 막기 위해 스마트 어촌 도입 시급”

어촌뉴딜 300 사업 조감도 © News1
어촌뉴딜 300 사업 조감도 © News1
어촌 인구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어촌(Smart Fishing Community)’ 도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서 발간한 동향분석에 따르면 어촌의 인구는 지난해 12만 명까지 급격히 감소했으며, 고령화율 역시 30.5%를 넘어섰다.

또 지역소멸지수를 분석한 결과, 오는 2045년에는 전체 어촌의 81.2%인 342개 읍·면·동이 소멸 고위험(0.2미만) 지역으로 예측됐다.

이러한 어촌의 급격한 인구감소는 정주환경의 기반을 붕괴시키고, 어촌의 삶의 질 저하는 다시 인구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나타난다.

KMI는 첨단기술의 융합과 사회·규제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스마트 어촌’ 도입이 주요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 어촌은 스마트 수산업, 스마트 에너지, 스마트 정주환경이 통합된 개념으로, ICT 등 첨단기술 을 활용한 기술혁신과 사회혁신, 규제혁신을 통해 구현해 낼 수 있다.

유럽연합은 지난해 ‘스마트빌리지(Smart Village)’ 정책을 마련하고, 스마트빌리지를 디지털혁신과 사회혁신으로 유형화했다.

각 유형별 시범사업들은 단순한 ICT 활용에서 벗어나 신기술과 사회변화를 결합한 창의적이고 정형화되지 않은 농어촌 지역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프랑스 브레타니 지역은 패류양식장의 생산정보를 어업인과 양식위원회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기술 ‘텔레카페체(Telecapêche)’를 어업현장에 도입하여 기술혁신을 구현했다. 독일 라인란트팔츠 지역은 편의시설, 교통접근성, 의료·보건 서비스 취약성을 개선하는 온라인 플랫폼 ‘디지털 마을(Digital Village)’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박상우 KMI 해양수산지역발전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국내 어촌의 인구소멸 현황을 고려한다면 우리도 어촌사회의 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도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스마트 어촌 도입을 위해 Δ스마트 어촌에 대한 정책연구 선행 Δ어촌뉴딜 300사업 등 스마트 어촌 마중물 사업 추진 Δ국내외 연구기관 간 네트워크 마련 및 국제학술교류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부산·경남=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