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道 ‘원자력해체연구소’ 유치 총력전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7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12일까지 이틀간 경주원전포럼… 美-日등 8개국 원전 전문가 참석
“원전해체연구소 최적지는 경주”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 학생들이 지난해 8월 경북 울진군 북면 한울원자력발전소 홍보관을 찾아 직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경북도는 원전 해체 산업 등을 위한 인재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경북도 제공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 학생들이 지난해 8월 경북 울진군 북면 한울원자력발전소 홍보관을 찾아 직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경북도는 원전 해체 산업 등을 위한 인재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원자력해체연구소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도는 11, 12일 경주 힐튼호텔에서 원자력 안전과 해체산업 육성 방안을 모색하는 국제포럼을 연다. 원전 기술의 세계 흐름을 살피고 해체연구소 최적지인 경주를 널리 알리기 위해서다.

경북도와 경주시가 주최하고 에너지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이번 포럼에는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핀란드, 한국 등 8개국 원전 전문가 30여 명과 국내외 관련 기관 단체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포럼 참석자들은 ‘에너지 전환의 시대 원자력 산업 미래 위상 정립’을 주제로 원전 안전과 해체를 비롯해 주민 수용성,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공존, 원전 클러스터 조성 전략 등 5개 분과로 나눠 주제 발표와 토론을 벌인다.

존 켈리 미국 원자력학회장은 ‘미국 원자력 미래 전망’을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한다. 지속 가능한 원전 운영과 최신 기술을 설명한다. 이어 각국 전문가들은 원전 안전성 개선 방안과 발전소 해체 과정, 주민 수용성, 원자력 인력 양성 사례를 소개한다.

경북도와 경주시, 울진군, 영국의 에너지 코스트 비즈니스 클러스터(BECBC)와 원전 안전 및 해체 산업, 중소기업 기술교류 지원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2005년 설립된 BECBC는 컴브리아주에 있는 원전 관련 기업과 대학, 에너지 전문가 등의 정보 교류를 지원하고 있다. 이곳에는 1956년 세계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가 있었고 지금은 핵 재처리 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BECBC 회원사는 약 320개다. 도는 경북의 역점 사업인 동해안원자력안전클러스터 조성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럼 참석자들은 친환경 원전과 안전성 강화, 해체산업 전문인력 양성, 세계 각국의 지속 가능한 원전 발전 등 3가지 사안에 협력한다는 내용으로 ‘경북 원자력 안전 선언’도 채택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이번 포럼이 원자력 안전 연구와 원전 해체산업의 경주 유치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경북 동해안에 국내 원전 24기 가운데 12기(울진 6기, 경주 6기)가 가동되고 있고 경주에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김천에 한국전력기술 등 전문 기업이 있다는 점을 내세워 원전해체연구소와 국가 원전안전연구단지 유치에 힘을 모으고 있다.

김세환 경북도 동해안전략산업국장은 “포럼 결과를 토대로 경북의 원전 안전성과 신뢰도를 국내외에 알릴 것”이라며 “부산 울산 등 원전해체연구소 유치 경쟁을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상황도 면밀히 살펴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경북도는 2014년 원전해체연구소 경주 유치를 공식화했다. 같은 해 경주시민 22만여 명(전체 시민의 86%)이 유치 찬성에 서명하고 국회와 정부 부처에 제출했다. 도는 이듬해 원전 사업과 해체연구소 유치를 전담하는 부서를 신설했다.

경주시는 최근 택시 100여 대에 ‘원전해체연구소 유치 경주의 밝은 미래’란 홍보 문구를 부착하는 등 유치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다. 시는 2014년 연구소 유치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정부에 연구소 부지를 제안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에 따르면 국내 원전해체시장은 2070년까지 약 14조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는 원자력 설계부터 건설 운영, 폐기물 처분까지 모든 과정이 가능한 유일한 지역”이라며 “원전해체산업의 시너지 효과가 어느 지자체보다 크다”고 강조했다.
 
장영훈 기자 j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