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당시 광주교도소에서 최소 34명 암매장”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1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암매장 추정 장소 4곳 등 5·18기념재단 관련 문서 공개… 37년 흘러 사실 확인에 어려움

김양래 5·18기념재단 상임이사가 17일 기자간담회에서 광주 북구 각화동 옛 광주교도소 내 5·18 암매장 추정 장소 4곳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김양래 5·18기념재단 상임이사가 17일 기자간담회에서 광주 북구 각화동 옛 광주교도소 내 5·18 암매장 추정 장소 4곳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교도소에 암매장된 희생자가 기존에 알려진 27명이 아니라 최소 34명으로 추정된다는 새로운 사실이 각종 문서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5·18기념재단 등 5월 단체는 최근 기자간담회를 열고 광주교도소 5·18 암매장 추정 장소 4곳과 관련 문서를 공개했다. 추정 장소 4곳에는 1980년 5·18 직후 시민들이 시신 3구를 찾아낸 광주교도소 건너편 야산은 포함되지 않았다.

5월 단체는 그동안 5·18 직후 계엄사령부가 작성한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에서 ‘광주교도소에서 민간인 27명(보안사 28명)이 사망했다’고 기록한 것을 암매장 기초 자료로 삼았다. 하지만 최근 각종 문서와 증언을 분석한 결과 암매장 희생자를 최소 34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5·18 직후 광주교도소 8구, 건너편 야산 3구 등 총 11구의 시신을 찾은 것을 고려하면 광주교도소에서 아직까지 희생자 23명을 찾지 못했다는 것이다.

암매장 첫 번째 장소(지도 ④번)는 5·18 당시 광주지검이 작성한 광주교도소 동향 문서에 기록됐다. 문서에는 ‘1980년 5월 21일 밤 군부대에서 시신 6구를 광주교도소 공동묘지에 묻었다’고 적혀 있다. 광주교도소과 광주지검 측은 사흘 뒤 “공동묘지에 묻힌 시신을 발굴해 옮길 때에는 검시할 것”이라는 통화를 했고 그 내용이 문서에 담겨 있다. 문서는 1995년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이 반란수괴죄로 재판을 받을 때 제출됐다. 옛 광주교도소 공동묘지에 희생자들이 암매장됐다는 기록이 처음으로 공개된 것이다.

두 번째(지도 ③번)는 5·18당시 3공수부대 사병으로 근무한 이모 일병이 제보한 곳이다. 그는 1989년 평민당에 “1980년 5월 22일 새벽 시신 5구를 광주교도소 관사 앞 소나무 숲에 묻었다”고 제보해 발굴이 진행됐으나 유골을 찾지 못했다. 그가 제보한 곳은 그동안 1980년 5월 30일 시신 8구를 찾은 곳(지도 ②)과 같은 곳으로 여겨졌다. 5월 단체는 각종 문서와 증언을 분석한 결과 이 일병의 제보 장소는 소나무 숲이었고 시신 8구가 발굴된 곳은 플라타너스와 옥향나무가 심어져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김양래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1980년 5월 30일 시신들을 발굴한 유족 증언과 문서를 확인해보니 이 일병 제보 장소와 시신 8구가 발견된 장소가 서로 다른 곳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네 번째(지도 ①번)는 5·18당시 3공수부대 대대장이었던 김모 소령이 1995년 검찰 조사에서 그린 암매장 약도 장소다. 김 소령은 검찰에서 “1980년 5월 23일 오후 6시부터 2시간 동안 광주교도소 담장 밖에 시신 12구를 묻었다”고 진술하고 약도를 그렸다. 5월 단체는 약도를 토대로 광주교도소 북측 담장 바깥쪽 폭 3∼5m, 길이 117m 구간에서 발굴 조사를 하고 있으나 땅속에서 배관 9개가 나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발굴이 진행되자 다른 3공수부대 부대원 2명이 전화로 “시신 12구 암매장 장소는 교도소 담장에서 더 떨어져 있다”고 제보했다. 광주교도소와 화순 너릿재에서는 땅속탐사레이더(GPR) 조사가 진행돼 20일경 결과가 나온다.

5월 단체는 각종 문서와 5·18 당시 공수부대원, 교도관 증언을 종합 분석한 결과 암매장 시간과 장소, 희생자 수가 각각 다르다고 설명했다. 5·18 희생자를 묻었다는 각종 문서와 증언들이 잇따르고 있지만 성과는 아직 나오고 있지 않다. 5·18이 일어난 지 37년이 흘러 각종 증거가 은폐되거나 사라져 5월 진실의 기초 사실마저 밝혀내기 힘든 상황이다.

5월 단체는 5·18 직후 신군부가 암매장 시신을 몰래 파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희생자들을 찾으려는 발굴 작업은 멈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후식 5·18부상자회장은 “암매장 장소로 거론되는 옛 광주교도소와 주남마을 상황은 자료 은폐 등으로 기초적인 진실 규명조차 쉽지 않다”며 “5·18특별법 제정으로 5월 그날의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5·18민주화운동#광주교도소#광주교도소 암매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