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이르면 2018년 부터 지역 아닌 유역별로 ‘족집게 가뭄예보’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6월 15일 21시 59분


코멘트
현재 지방자치단체별로 제공되는 가뭄 예·경보 정보가 이르면 내년부터 유역(流域)별로도 제공된다. 인위적인 구획이 아니라 실제 물을 끌어다 쓰는 수원(水源)별로 가뭄 정보를 주겠다는 것이다. 하천·상하수도 등 모든 물 관리가 환경부로 통합될 예정인 가운데 산하 기관인 기상청이 물 이용 중심의 가뭄 정보를 생산함으로써 재해 관리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유역별 예·경보 시스템 개발을 올해 중 완료해 내년부터 시범 서비스를 할 계획이라고 15일 전했다.

현재 가뭄 예·경보 정보는 전국을 167개 행정구역별로 나눠 ‘주의’ ‘심함’ ‘매우 심함’의 3단계로 제공된다. 같은 행정구역이면 대부분 물을 끌어 쓰는 곳이 같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기상가뭄지역(비가 적게 내린 곳)과 용수(用水)가뭄지역(사용할 물이 마른 곳)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다. 광역지자체인 충북의 경우 충주 제천은 한강 수계로, 청주 옥천은 금강 수계로 나누어 유역지도를 그리면 도가 반으로 쪼개진다.

기상청은 유역 예보를 통해 같은 물을 공유하는 지역들이 한데 묶이면 강수량과 용수 정보가 결합되면서 더 정확한 예보가 가능할 것이라 보고 있다.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된 표준유역은 850개, 그 상위구역인 중권역은 117개인데 이 중 현 167개 행정구역과 비슷한 중권역에 맞춰 예보 시스템을 짜고 있다. 관측망을 새로 설치하지 않아도 기초지자체 단위에 총 700개 관측망이 있어 정보 수집에는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환경부로 모든 물 관리가 일원화될 예정이라 이런 유역 중심 예보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 실질적 물 부족 상황을 정확히 파악해 물 이용을 종합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물 관리 일원화의 가장 큰 쟁점 중 하나는 과연 환경부가 가뭄과 같은 국가적 재난 상황을 잘 헤쳐 나갈 역량이 있는가 여부다.

기상청은 또 최대 3개월 뒤까지 제공되는 예보 기간을 뒤로 더 연장하는 계획도 검토 중이다. 지금은 매달 10일경 1개월 뒤·3개월 뒤 상황을 예보해 발표한다.

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