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신비 ‘황칠’ 부활시킨 정병석 씨, 그의 꿈은?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3월 8일 13시 27분


코멘트
한국 특산종인 황칠(黃漆)나무를 26년간 연구해 ‘천년의 신비’를 부활시킨 전문가가 있다. 황칠 숙련 기술전수자 1호로 지정된 정병석 씨(65·사진). 황칠나무에서 나오는 천연 도료 황칠은 1000년 동안 색이 변하지 않고 나무뿌리와 줄기 잎 열매 모두에 약효가 있다. 전국에 분포한 황칠나무 숲 2400㏊ 가운데 2000㏊는 전남에 있다. 정 씨가 천년의 신비를 부활시켜 농민은 물론 전남도가 황칠나무의 경제적 가치를 일찍 깨닫고 조성한 덕분이다.

○ 교육자에서 황칠나무 전문가로

정 씨는 36년간 교직에 몸담았고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을 지낸 교육자 출신이다. 그가 황칠나무와 인연을 맺은 것은 1990년 광주과학고 교사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교장에게서 전국과학전람회에 논문을 출품해 보라는 권유를 받았다. 전남대 생물학과 출신인 그는 당시 생물학과 석사 과정을 밟고 있었다.

논문 주제를 정하기 위해 고민하던 중 한 후배에게서 “중국 당태종 이세민의 용상(龍床·임금이 앉는 평상)이나 갑옷 투구에 칠하던 것이 한국 황칠나무에서 나오는 황칠이었는데 맥이 끊어져 안타깝다”는 말을 들었다. 황칠은 백제 장수들의 갑옷 명광개(明光鎧)에도 쓰였다. 명광개는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는 갑옷’으로 적의 눈을 부시게 해 무력화했다. 황칠은 고구려 철갑기마병(개마무사)에게도 쓰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대 중국과 일본 상류층에게 동경의 대상이었다고 전해진다.

정 씨는 끊어진 황칠나무 맥을 복원하기 위해 연구에 착수했다. 황칠나무가 있는 전남대 보길도 수목원 일대에는 가정집 화단에도 황칠나무가 한두 그루씩 심어져 있었다. 주민들은 아플 때 황칠나무를 달여 먹으면 몸이 낫는다며 비상약으로 키웠다.

현장조사를 통해 사철 잎이 푸른 황칠나무가 전남 해안과 제주에서만 자라는 것을 확인했다. 물이 잘 빠지는 기름진 토양과 경사지에서 잘 자라는 것도 밝혀냈다. 황칠나무는 상처가 나면 스스로 치유·보호를 위해 면역력과 살균력을 높이는 액체인 황칠을 분비한다. 사람 가슴 높이 부근 둘레가 20㎝ 정도 되는 나무에서 10~50g의 황칠이 나온다. 귀한 황칠은 ㎏당 1000만~3000만 원을 호가해 황금에 비유되기도 한다.

정 씨는 2년간 황칠 성분을 분석해 효능을 입증했다. 황칠은 냄새를 맡으면 마음이 편안해지는 안식향(安息香)이 있고 1000년을 넘게 가는 천연 투명 도료이기도 했다. 황칠은 흰 종이에 칠하면 황금색을 띠지만 나무에 칠하면 황토와 비슷한 색을 낸다. 당태종의 갑옷은 금이나 황동에 황칠을 칠해 황금빛을 띠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1992년 10월 ‘전통 도료 황칠 재현을 위한 황칠나무의 특성 및 이용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전국과학전람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 정 씨가 상을 받자 완도 주민들이 황칠나무의 무한한 가능성을 알고 묘목 생산법을 알려 달라고 요청했다. 정 씨에게 묘목 생산법을 배운 주민들은 대량으로 황칠나무를 심기 시작했다. 맥이 끊어진 천년의 신비 황칠나무의 매력이 언론을 통해 전해지면서 각계의 다양한 연구가 촉발됐다.

정 씨는 1995년 황칠나무에 작은 구멍 2, 3개를 뚫은 뒤 미생물을 넣어 황칠을 채취하는 비법을 개발해 특허를 내는 등 황칠나무 관련 특허를 6개 갖고 있다. 미생물 채취법을 쓰면 나무의 껍질을 벗기는 채취법에 비해 10~50배 더 많은 황칠을 생산할 수 있다.

○ 건강 기능 식품으로도 각광


정 씨는 2000년부터 황칠나무의 약효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황칠나무의 학명 덴드로파낙스 모비페라(Dendropanax morbifera)를 풀이해 보면 덴드로는 ‘식물’, 파낙스는 ‘만병통치약’, 모비페라는 ‘병을 가져간다’는 뜻이다. 학명으로 본 황칠나무는 ‘만병통치 약용 식물’이라는 의미다. 그동안 다양한 연구를 통해 황칠나무가 항암 작용, 면역력 증강, 간 질환·당뇨 치료, 가래·기침을 줄이는 진해거담 효과, 신경 안정 등의 효능이 있다는 것이 입증됐다. 정 씨는 “황칠나무의 가장 큰 효능은 항암과 면역력 증강”이라고 말했다.

그는 황칠나무 약효를 살린 차와 음료를 개발했다. 일부에서 황칠나무 껍질을 삶아 건강식품으로 팔고 있지만 약효 성분이 10~20%밖에 함유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보길도와 화순에서 황칠나무 농장을 운영하면서 황칠연구소를 열고 황칠나무를 보급하는 한편 건강식품을 생산해 판매하고 있다. 수목 생산과 식품 가공·판매, 관광산업을 하나로 만드는 6차 산업 자원화가 꿈이다. 또 황칠나무 숲이 안식향을 내뿜고 면역력을 높여 주기 때문에 편백나무 숲 못지않은 치유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꿈을 이렇게 설명했다.

“황칠나무가 농수산물 수입 개방 확대의 파도를 이겨 낼 토종 자원이에요. 세계적으로 약효를 인정받을 날이 곧 옵니다. 황칠나무를 세계적으로 귀한 우리 자원으로 잘 가꿔 후손들에게 물려주고 싶을 뿐이에요.”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