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대]공무원-현지주민, 로컬푸드 운동으로 소통하며 상생 찾았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2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청사 공무원과 주민들의 ‘도농 상생’
세종시민 지역 농수축산물 소비… 직매장 설치 추진 도농윈윈 예상

세종시는 도농 간 상생과 공동체 구성을 위한 방안으로 로컬푸드 운동을 적극 전개하기로 하고 9월에 ‘로컬푸드 선포식’을 열었다. 세종시 제공
세종시는 도농 간 상생과 공동체 구성을 위한 방안으로 로컬푸드 운동을 적극 전개하기로 하고 9월에 ‘로컬푸드 선포식’을 열었다. 세종시 제공
“서울 등 수도권에서 이전해 온 세종청사 공무원과 그 가족, 그리고 연기군 토착주민과 상생의 길은 무엇일까.”

올 초 세종특별자치시장 출마를 굳힌 이춘희 후보(현 시장)의 고민이었다. 정부기관의 이전이 계속되면서 중심지역과 외곽지역의 불균형은 아무리 ‘행정의 달인’이라 해도 쉽게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돌파구의 하나가 ‘로컬푸드(Local-food) 운동’을 범세종시 차원에서 확산시켜 보자는 것이었다. 이 시장은 먼저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다양한 선진 사례를 공부했다. 마침내 이 운동이 도시민(세종청사 공무원과 가족)과 농민(옛 토착민)을 연결해 한 시민으로서 같이 잘살게 만들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 민선 2기 핵심공약으로 선정된 배경이다.

로컬푸드 운동은 지역에서 생산된 농수축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것이다. 더 나아가 농민과 도시민의 신뢰시장을 형성하고 지역공동체를 만들어간다는 게 선진국 및 국내 일부 지역의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쌀 개방 등에 따른 ‘농업 붕괴’의 대안으로 떠오르기도 한다.

이에 따라 세종시는 올 8월 시청에 4명의 공무원으로 로컬푸드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9월에는 ‘건강한 시민, 행복한 농민, 함께하는 세종시’라는 슬로건을 내건 비전 선포식도 가졌다.

또 연중 기획생산체계를 갖추고 농민가공센터를 건립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생산가공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판매기반 구축을 위해 로컬푸드 직매장과 공공급식지원센터를 건립하고, 소비자들을 위해 세종시장 인증 농산물 안전시스템 구축 등 5개 실천과제를 정했다.

로컬푸드 직매장 개설에 앞서 8∼11월 한솔동 등에서 싱싱장터를 시범 운영한 결과 65개 농가가 참여해 1억7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생산자-소비자 간 직거래 성공 가능성도 확인했다. 농민들의 관심도 높았다. 32개 마을에서 최근까지 실시한 좌담회에서는 모두 300여 가구의 농가가 참여하기로 한 것.

세종시는 내년 초 도담동 복합커뮤니센터 인근에 5억 원을 들여 로컬푸드 직매장을 설치한다. 시범 운영한 후 2017년에는 직매장, 특화 종합식당 등을 아우르는 ‘로컬푸드 종합타운’을 건설해 세종시를 로컬푸드의 메카로 꾸미겠다는 포부도 갖고 있다. 이와 함께 농가 참여를 높이고 이익을 농민에게 환원하기 위한 식품 제조 및 판매허가 등 대행 서비스를 하는 거점 농민가공센터와 공공급식지원센터와 우수 농산물을 학교, 병원, 기관 등에 연중 공급할 수 있는 기획생산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세종시가 로컬푸드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한 것은 지역구 국회의원인 이해찬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의 역할도 컸다. 이 의원은 로컬푸드 사업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 근거를 담은 ‘지역농산물 생산·가공·유통 및 소비의 촉진을 위한 법률’을 올해 5월 국회에 대표 발의했다.

이 시장은 “세종시와 농축협, 생산자연합회 등이 공동출자해 직매장과 공공급식지원센터 등을 운영할 중간조직인 법인도 설립할 예정”이라며 “생산자는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해 시민 건강을 지키고, 소비자는 지역생산 우수 농산물을 우선 소비해 상생하자는 게 로컬 푸드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