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亞문화전당, 5·18정신 알릴 유적지로 활용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5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단… 옛 전남도청 본관 등 5곳 보강공사
전시-교육 체험장 철저한 준비 필요

2015년 개관하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아시아 문화의 메카 역할을 하게 된다. 아시아문화전당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전시·공연 주제로 ‘민주’ ‘인권’ ‘평화’가 포함된다. 인권정신 을 담은 전시·체험장으로 5·18민주화운동 핵심 유적지가 활용된다. 아시아문화전당 내 5·18유적지는 옛 전남도청 본관·회의실, 전남지방경찰청 본관·민원실, 상무관, 분수대 광장 등 6곳이다. 5·18유적지가 아시아에 오월 정신을 전파하는 문화공간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 새롭게 태어나는 옛 전남도청

문화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단은 내년 11월까지 옛 전남도청 본관·회의실, 옛 전남지방경찰청 본관·민원실, 상무관 등 5·18유적지 5곳에 대한 보강공사를 마무리할 방침이라고 27일 밝혔다. 보강 공사는 건물 안전이 불안하던 D, E등급을 안전한 C등급 이상으로 올리는 사업으로 총공사비는 128억 원이다. 아시아문화전당은 내년 10월 완공할 예정이다. 추진단 관계자는 “옛 전남도청 본관·회의실 내부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분위기를 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옛 전남도청 본관(등록문화재 16호)은 1930년 12월 완공된 것이다. 본관은 3층으로 전체 면적은 1278m²다. 동아일보 1930년 12월 11일자 3면에는 ‘전남도청 신축, 총공사비 2만2000여 원’이라는 기사가 실려 있다. 이 기사에는 ‘기존 전남도청사가 비좁고 불편해 새로 지었다. 신축된 청사는 광주시내에 웅장한 경관을 드러낼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옛 전남도청 회의실(시도유형문화재 6호)은 1932년 5월 완공됐다. 건물 층수는 2층이며 전체 면적은 1467m²다.

옛 전남도청 본관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의 상황실, 임시기자실 등으로 사용됐다. 회의실은 5·18 사망자 확인 장소로 쓰였다. 추진단은 옛 전남도청 본관·회의실을 민주인권평화기념관(가칭)으로 명명하고 전시실 6개, 콘퍼런스홀, 영상관 등 교육 체험장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옛 전남지방경찰청 본관·민원실은 아시아문화전당 관계자 사무실 등으로 쓰인다. 상무관은 추모 공간(메모리얼 홀)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5·18 당시 5차례 민주대성회가 열렸던 분수대 광장엔 화강암이 깔린다. 분수대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며 주변에 작은 물길을 조성한다. 광주시는 분수대 광장 주변 활용방안에 대해 시민들의 의견을 모으고 있다.

○ 5·18유적지 콘텐츠는 어떻게?

옛 전남도청 별관 보전 문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진통을 겪었다. ‘도청별관 30m 원형보전, 24m 철구조물 설치’라는 추진단의 제안이 받아들여졌다. 도청별관 전체의 형태가 유지되며 금남로를 연결하는 통로가 마련된다.

옛 전남도청 별관을 둘러싼 진통에도 불구하고 아시아문화전당 공사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아시아문화전당 공정은 현재 57%다. 아시아문화전당은 12만8621m²(약 3만8908평) 터에 총면적 17만3540m²(약 5만2496평) 규모다.

아시아문화전당 내 전시·공연 준비가 어려움을 겪듯 옛 전남도청 본관·회의실 등 5·18유적지에 담을 전시·교육 체험장 준비도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문화전당에서 오월 정신을 담아낼 전시·교육 체험장에 대한 철저한 논의와 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송선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1993년 김영삼 정부 시절 특별담화를 통해 옛 전남도청 자리에 5·18기념공원을 조성하겠다고 결정했다”며 “아시아문화전당 내 5·18유적지들이 금남로에 들어서는 5·18아카이브(박물관)와 함께 5월 정신을 알리는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ag.com
#국립아시아문화전당#민주#인권#평화#5·18유적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