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메트로 像像]강감찬 장군 동상이 수원에?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 봉천동 낙성대에서 태어난 강감찬 장군
역동적 기마상은 왜 수원 광교공원에 있을까

“강감찬 장군이 수원에서 태어났나요?”

경기 수원시 경기대 정문 인근 광교공원. 광교산으로 오르던 등산객들이 발걸음을 멈추고 공원 안의 한 동상을 이리저리 관심 있게 쳐다본다. 대부분 고개를 갸웃거리다가 다시 가던 길을 재촉한다. 이 동상의 주인공은 ‘귀주대첩의 영웅’ 강감찬 장군(948∼1031).

조각가 김영준 씨가 조각한 이 동상(사진)은 높이 4.5m로 좌대 높이(5.7m)까지 포함하면 10m가 넘는다. 청동 주물상의 무게만 5t의 역동적인 기마동상이다. 말에 올라탄 강감찬은 긴 칼을 왼쪽에 차고 오른손은 높게 치켜든 채 당장이라도 적진을 뚫고 나갈 듯한 기세다.

강감찬의 ‘귀주대첩’은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이순신의 ‘한산도대첩’과 함께 3대 대첩으로 꼽힌다. 이 전투는 거란 10만 대군의 침략을 막아낸 우리나라 대외 항전사상 중요한 전투 중 하나다.

강감찬은 아직도 국가를 위기에서 구한 영웅으로 수많은 설화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고려사’ 열전에 나온 장군의 탄생 일화를 보면 ‘한 사신이 한밤중에 시흥군으로 들어오다가 큰 별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사람을 보내 찾아보게 하니 별이 떨어진 집 부인이 사내아이를 낳았는데 그가 바로 강감찬이었다’고 적고 있다. 강감찬의 탄생지인 서울 관악구 봉천동 낙성대와 연계된 설화다. 낙성대에는 1997년 10월 강감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동상이 있을 뿐 아니라 사당과 사적비도 있다.

그렇다면 강감찬 동상이 연고도 없는 수원에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강감찬과 수원의 인연을 굳이 찾는다면 수원과 인접한 화성의 서원에서 과거 공부를 2년간 했다는 것이 전부다.

광교공원의 동상은 낙성대 동상보다 26년 빠른 1971년 6월 지금의 장소가 아닌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팔달산 중턱에 세워졌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애국조상건립위원회’를 만들었고 전국 각 시군에 위인의 동상을 세워 그 정신을 본받도록 지시해 연고도 없는 수원에 자리 잡았다. 제막식은 김종필 국무총리가 참석했을 정도로 성대하게 치러졌다.

하지만 수원 시민들은 강감찬이 역사적인 위인이긴 하나 수원과 인연이 없다는 점 때문에 이전을 요구해왔다. 그 대신 정조대왕 동상이 세워지길 원했다. 결국 2007년 12월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을 지키는 신을 모시는 사당인 성신사 복원을 위해 동상을 이전했다. 강감찬 동상은 36년간 있던 자리를 옛 주인에게 내준 채 광교공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조영달 기자 dalsar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