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의 기적, 함께 나눌 것” …과학벨트 유치 염홍철 대전시장

  • Array
  • 입력 2011년 5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염홍철 시장은 “한국의 산업화나 경제발전이 국제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선진국 모방형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며 “과학벨트를 통한 기초과학연구 활성화로 창조적 주도형으로 바꿔 나가야 한다” 고 말했다.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염홍철 시장은 “한국의 산업화나 경제발전이 국제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선진국 모방형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며 “과학벨트를 통한 기초과학연구 활성화로 창조적 주도형으로 바꿔 나가야 한다” 고 말했다.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이제는 한강의 기적을 넘어 대덕의 기적이 이뤄질 겁니다.”

26일 오후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시청 시장실에서 만난 염홍철 시장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가 가져올 미래상을 이렇게 그렸다. 그는 “한강은 산업화를, 대덕(대덕연구개발특구)은 지식창조형 경제를 의미한다”며 “과학벨트를 통해 기초과학을 획기적으로 진흥시켜 기존의 선진국 모방의 추격형 경제에서 원천기술 발굴의 주도형 경제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16일 대전이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선정된 뒤 대전시내 곳곳에는 이를 환영하는 현수막들이 내걸려 자축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염 시장으로부터 과학벨트의 대전 입지의 의미와 과제 등을 들어봤다.

―대전이 과학벨트 거점지구, 충남 충북이 기능지구로 결정됐는데….

“500만 충청인은 물론이고 과학강국을 염원하는 모든 국민과 함께 매우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충청권 입지는 지극히 당연한 결정이었다고 본다. 이명박 대통령도 대선공약을 이행하게 됐다. 정부와 더불어 기초과학을 육성해 대한민국 노벨과학상 1호가 과학벨트 거점지구인 대전에서 나오길 기대한다.”

―유치전을 폈던 다른 자치단체들은 ‘정치벨트’라며 반발한다.

“절대 정치벨트가 아니다. 과학자들이 공정하게 평가하고 정부가 이를 수용한 데 감사할 따름이다. 유심히 살펴봤는데 다른 문제는 몰라도 대전이 거점지구의 자격을 갖추지 않았다고 문제를 제기한 언론은 아무 데도 없었다. 그만큼 객관적인 평가였다는 말이다. 대전이 거점지구가 됐지만 과학벨트는 지역사업이 아니라 국가사업이라서 성과는 전국이 공유한다.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는 대전에 오지만 연구단은 대구 울산 포항 광주 등 전국에 골고루 퍼져 지역 편중 문제도 없다. 예산은 오히려 영호남에 상대적으로 많이 배정됐다.”

―과학벨트가 대덕특구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응용연구 개발 위주의 대덕특구에 기초과학 연구개발 기능이 보강돼 세계적인 연구개발(R&D) 거점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본다. 수월성에 기반한 국내외 우수한 연구인력 유입 기반이 확대되고 R&D와 사업화의 연계 및 지원 규모의 확대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본다.”

―대형 국책사업이 매번 지역 갈등을 유발한다. 갈등을 막을 묘안이 있나.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 시민단체의 지역 발전에 대한 욕구와 열망이 크기 때문에 지역에 입지할 대형 국책사업은 그 자체로 갈등을 잉태하고 있다. 과학벨트도 마찬가지였다. 이런 대형 국책사업을 전담 처리하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본다. 정부는 정치권의 표 계산이나 여론에 휘둘리지 않고 사업 목적에 초점을 맞춰 결정해야 한다. 합리적 결정이 반복되면 그 결정이 신뢰와 권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기능지구와의 협력은 어떻게 해나갈 계획인가.

“기능지구는 거점지구에서 수행한 기초과학 연구를 바탕으로 응용 연구와 개발, 산업화가 이뤄지는 곳이다. 충남도 및 충북도와 함께 과학벨트 성공을 위한 태스크포스 같은 기구를 만들어 가동할 생각이다.”

―과학벨트 예산에는 용지매입비가 없다. 정부가 용지매입비를 해당 지자체에 분담시키려 한다는 말도 나온다.

“입지 선정 당시 용지비용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국가사업인 만큼 당연히 용지 매입과 조성비는 정부에서 부담해야 한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용지매입비가 3800억 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이 엄청난 예산을 재정여건이 열악한 지자체로서는 감당할 능력이 없다.”

―과학벨트 조성을 위해 앞으로 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가.

“우선 정부는 거점지구와 기능지구의 역할 분담이 잘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기능지구의 역할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3개 기능지구에 대한 예산을 더 늘려야 한다고 본다. 대전시는 기초과학연구원 조성에 필요한 도시계획을 신속히 추진하겠다. 또 외국인을 비롯한 국내외 우수한 연구자들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겠다. 문화 예술 관광 엔터테인먼트 교육 의료 등의 인프라를 확대하려고 한다. 정부가 올해 말까지 마련할 과학벨트 기본계획에 이런 내용이 잘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 아울러 부동산 투기로 서민들이 어려워지는 일이 없도록 탈법 및 불법 행위를 철저히 차단하겠다.”

대전=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