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사태 100일]불명예 기록들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3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직-간접피해 6조… 돼지 3마리중 1마리 도살

8일로 발생 100일째를 맞는 구제역 피해는 2000년 이후 발생했던 4차례의 구제역 피해를 모두 합한 것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당장 도살처분 규모만 해도 비교가 되지 않는다. 이전에 발생한 4차례의 구제역으로 인한 도살처분 규모는 모두 22만여 마리. 그러나 이번에는 15배가 넘는 346만6173마리의 소와 돼지가 땅 속에 묻혔다.

사육규모별로 보면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돼지(990만여 마리)의 약 33%인 330만4582마리가, 소(337만여 마리)의 약 4%인 15만870마리가 도살처분됐다. “이번 구제역으로 국내 축산업의 기반이 흔들리게 됐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실제로 젖소 사육규모 1위인 경기, 한우 1위인 경북, 돼지 1위인 충남은 모두 구제역으로 엄청난 홍역을 앓았다. 젖소, 한우, 돼지 사육규모 상위 3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구제역에서 비켜난 곳은 전남(한우 2위)밖에 없다.

발생 지역은 11개 광역시도 75개 시군구로, 구제역은 100일 동안 사실상 전국을 휩쓸었다. 자연히 이를 막기 위한 인력 동원과 초소 규모도 사상 최고로 늘어났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발생 이후 공무원, 군인, 경찰, 자원봉사자 등 44만4771명이 방역 활동에 투입됐다”며 “전국적으로 설치한 이동통제초소도 1889곳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전국적으로 8명의 공무원이 순직했다.

도살처분 규모와 발생 지역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피해규모도 눈덩이로 불어났다. 지금까지 구제역으로 피해액이 가장 컸던 것은 2000년의 3006억 원이었다. 그러나 이번 구제역은 6일 현재까지 피해액이 3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도살처분 보상금, 백신 구입비용 등 농식품부 예산이 2조 원 넘게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며 “여기에 환경부에서 매몰지 관리 등에 8000억 원가량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직접적인 정부 지출 예산을 포함한 것일 뿐 구제역으로 각 지자체의 행사가 취소된 데 따른 피해액, 사료업체 등 관련 산업의 피해액은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한 전문가는 “지역경제 침체 등 간접 피해액 역시 직접 피해액에 맞먹는 수준일 것”이라며 “너무나도 비싼 ‘수업료’를 치른 만큼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농가와 지자체 모두 방역 시스템과 의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상준 기자 always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